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의 바른미래당 폄훼 발언에 대해 “홍 수석대변인은 즉각 대변인직을 사퇴하고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공개적으로 사과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여당이자 원내 2당의 수석대변인이 말했다고 믿기 어려운 발언이다. 제 귀가 의심될 정도”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권력이 생기면 다른 정당뿐 아니라 국민 위에서도 언제든지 군림할 수 있다는 모습을 보여줬다”며 “이런 발언을 듣자니 이 시대의 청년을 바라보는 저급한 인식이 담긴 말들도 단순 실수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20대에게 선거 때는 표를 달라고 굽신거리다가 권력을 차지한 후에는 계몽의 대상자로 본다. 국회정상화에 협조하라고 바른 소리를 하면 ‘미니정당’ 취급한다”며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전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원내대표는 “유선상으로 이해를 구한다고 했지만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한통은 제대로 된 사과가 아니다”며 “매우 유감”이라고 전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27일 당 공보국을 통해 “일부 바른미래당에 대한 부적절한 표현에 대해서는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김관영 원내대표에게 유선상으로 이해를 구했다”고 해명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역시 이날 의원총회에서 홍 수석대변인을 겨냥해 “정치는 말로 하는 것인데 품격을 지켜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5·18 망언에 탄핵 불복에 역사 왜곡부터 성차별, 세대 차별 그리고 당 대 당에 대한 기본적 예의도 없는 이런 정치, 국민들이 이래서 정치를 싫어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27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을 겨냥 “그 사람과 자꾸 엮이는 게 좋지 않은 게 (바른미래당은) 소수정당이다. 미니 정당이고 영향력도 없는 정당”이라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과 하 의원은 15일 국회 토론회에서 나온 발언을 두고 설전을 이어가고 있다. 홍 수석대변인은 이날 “왜 20대가 가장 보수적이냐. (지난 정권에서) 1960~70년대 박정희 시대를 방불케 하는 반공 교육으로 아이들에게 적대감을 심어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하 의원은 “홍 수석대변인이 청년들의 건전한 비판을 반박하기 위해 유럽의 신나치까지 거론하는 극단적 선동을 했다”며 비판했다.
강문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