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전당대회 기간 중 막말 논란에 휩싸였던 후보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김진태 당대표 후보는 2만5924표(18.9%)를 얻어 황교안, 오세훈 후보 뒤를 이은 3위에 그쳤지만, 김순례 최고위원 후보는 3만4484표(12.7%)로 4명을 뽑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출마 8인 중 3위를 차지해 당 지도부에 입성했다.
앞서 두 후보는 이종명 의원과 국회에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를 주최해 5·18 폄훼 논란을 일으켰다. 김진태 후보는 공청회에 5·18 북한군 개입을 주장하는 극우인사 지만원씨를 초청해 “가장 존경하는 분”이라고 말했고, 김순례 후보는 “종북좌파들이 판을 치면서 5·18 유공자라는 괴물집단을 만들어내 국민 세금을 축내고 있다. 국민 혈세로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는 유공자를 색출해야 한다”고 말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두 후보는 이후 5·18 폄훼가 아니라 유공자 명단을 투명하게 공개해 거짓 수혜자를 가려내자는 취지였다고 해명했으나 한국당은 논란이 확산되자 윤리위원회를 열어 징계 수위를 논의했다. 이 의원은 당 제명 조치했지만, 두 후보는 ‘후보자는 후보 등록을 마치면 전당대회가 끝날 때까지 윤리위 회부 및 징계를 유예받는다’는 당규를 들어 징계를 뒤로 미뤘다.
두 후보는 전당대회 당일인 27일에도 5·18 폄훼 논란과 관련해 자신들의 주장을 꺾지 않았다. 김진태 후보는 현장에 모인 대의원들을 향해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하라는 얘기가 망언인가”라고 호소했고, 김순례 후보도 “한국당 여전사로서 앞장서서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하도록 투쟁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지자들은 이날 이들의 주장에 열렬한 환호를 보냈지만 두 후보의 운명은 엇갈렸다. 전당대회 기간 내내 ‘태극기 부대’의 뜨거운 지지를 몰고 다닌 김진태 후보에게는 5·18 폄훼 논란이 중도보수 성향 당원들을 결집시키며 악재가 됐지만, 초선 비례대표로 인지도가 낮은 김순례 후보에게는 이름값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망언 당사자인 김순례 후보가 지도부에 입성하면서 황교안 대표 체제의 신임 지도부가 징계 문제를 어떻게 풀지에도 관심이 몰린다. 징계 처리 과정에서 김순례 최고위원이 포함된 새 지도부의 심의가 필요한 만큼 공정성 시비에 휘말릴 가능성도 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