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언’ 김순례 한국당 최고위원…유예됐던 징계, 황교안 선택은?

입력 2019-02-28 04:00
자유한국당 김순례 의원이 27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시스

‘5·18 망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던 김순례 의원이 자유한국당 최고위원으로 선출됐다. ‘망언 3인방’ 중 유일하게 지도부 입성에 성공한 것이다. 앞서 김순례 의원에 대한 징계는 당헌에 따라 전당대회(전대) 이후로 유예됐다. 신임 황교안 대표가 ‘태극기 부대’의 지지를 업은 김 의원에 대한 징계 판단을 내릴 수 있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국당은 27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전대를 열고 김순례·조경태·김광림·신보라 의원과 정미경 전 의원의 5인으로 구성된 최고위원 명단을 발표했다. 당대표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로 확정됐다. 당대표에 도전했던 ‘망언 3인방’ 중 김진태 의원은 오세훈 전 시장에 이어 3위로 낙선했다.

김순례·김진태·이종명 의원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 참석해 1980년 5월 민주화운동을 ‘북한군 개입 폭동’으로 규정하고, 민주화 유공자를 ‘괴물 집단’으로 폄훼했다. 당시 ‘괴물 집단’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발언자가 김순례 의원이었다.

김병준 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2일 당 대표자 자격으로 기자회견을 자청해 세 의원의 역사 왜곡 발언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당 윤리위원회는 이틀 뒤 세 의원에 대한 징계를 결정했다. 다만 이종명 의원만 제명했고, 김순례·김진태 의원 징계 판단은 전대 이후로 미뤘다.

한국당은 징계 판단 유예의 근거로 당헌·당규를 앞세웠지만 ‘전대를 방패막이로 삼았다’는 지적을 피할 수는 없었다. 여야 4당은 일제히 ‘꼼수’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결정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두 의원(김순례·김진태)에 대한 윤리위를 전대 이후에 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이제 최고위원을 징계 대상으로 올려야 한다. 이종명 의원과 입장을 같이 했던 김순례 의원이 제명 등 중징계를 받게 되면 최고위원 자격을 박탈당하게 된다. 김순례 의원은 이날 전대에서 정견발표 마지막에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하라”고 외쳤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