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매체의 김정은 동선 신속 보도, “담판 앞두고 내부 달래기”

입력 2019-02-27 11:00 수정 2019-02-27 11:15
북한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 호텔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 실무대표단의 보고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뉴시스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마지막 담금질’에 돌입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행보를 북한 매체들이 이례적으로 신속 보도하고 있다. 비공개였던 김 위원장의 일정을 공개하고 북한 대사관 방문 현장 사진도 크게 실었다. 미국과의 ‘담판’을 앞둔 상황에서 내부 민심을 안정시키고 회담 분위기를 고취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베트남 현지에 도착한 김 위원장의 모습과 북한 대사관을 방문한 상황 등을 담은 기사를 27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매체들은 “최고령도자(영도자) 김정은 동지께서 26일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해 제2차 조미 수뇌회담 실무대표단의 사업 정형을 보고받았다”고 전했다.

통신은 “(하노이) 멜리아 호텔에서 제2차 조미 수뇌회담의 성공적 보장을 위해 두 나라가 현지에 파견한 실무 대표단 사이의 접촉 정형을 구체적으로 청취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멜리아 호텔을 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김 위원장의 베트남 일정도 윤곽이 드러났다. 북한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오는 28일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진행하고 다음 달 1~2일 베트남을 공식 친선 방문한다.
북한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6일(현지 시간)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주베트남 북한 대사관을 방문해 촬영한 기념 사진을 보도했다. 뉴시스

노동신문은 1면에 김 위원장의 베트남 방문 모습을 13장의 컬러 사진으로 실었다. 2면에는 “경애하는 최고령도자(영도자) 김정은 동지께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주재 우리나라(북한) 대사관을 방문했다”는 기사와 함께 대사관 안에서 관계자들과 함께 찍은 기념사진도 보도했다.

북한 매체의 이러한 보도는 2차 북·미 정상회담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에도 북한 민심이 동요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는 27일 “김 위원장의 여러 가지 준비 상황이 중계되는 건 마치 ‘고난의 행군’처럼 오랜 시간 기차를 타고 가서 북한이 원하는 걸 얻어내기 위해 이만큼 노력을 하고 있다는 인상을 북한 내부에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북한 내부를 결속시키고 사기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라는 것이다.

이날 북 매체가 보도한 사진 가운데는 김 위원장이 26일 멜리아 호텔에서 리용호 북한 외무상과 김혁철 대미특별대표, 최선희 외무성 부상 및 김성혜 당 통일전선부 통일책략실장과 테이블에 앉아 회의하는 모습도 담겨있었다.

박 교수는 “김 위원장 입장에선 평양을 장기간 비우고 나오는 데 따른 부담감이 있을 것”이라며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 때 북한이 원하는 대북제재 해제 등에서 큰 진척이 없었던 만큼 이번에 만약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이정도로 노력했다는 측면을 보여주려고 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