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소년단을 월드스타로 키워낸 프로듀서이자 작곡가 방시혁(47)이 모교인 서울대를 찾아 사회에 진출하는 후배들에게 조언을 건넸다.
방시혁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대표는 26일 서울대 제73회 학위수여식에서 축사했다. 오세정 서울대 총장이 방시혁에게 직접 부탁해 성사된 자리였다. 서울대는 인물의 상징성, 메시지 등을 고려해 총장단의 협의를 거쳐 축사 연사를 선정했다.
서울대 합주단은 방탄소년단의 ‘DNA’를 연주하며 방시혁을 맞이했다. 사회자는 “91학번 미학과 동문 방시혁 대표는 성공한 작곡가이자 기업인으로 세계 최고 그룹으로 자리매김한 방탄소년단을 제작했다”고 소개했다.
박수를 받으며 등장한 방시혁은 졸업생들과 마주하고 “모교의 축사를 한다는 것은 대단한 영광이다. 이 자리에 서기까지 많이 고민했다. 지루한 꼰대의 이야기가 되지는 않을까, 내가 해줄 말이 있을까 싶었다”며 “내 자랑을 조금 해보려고도 한다”고 입을 열었다.
방시혁은 “특별한 꿈을 꾸지 않았다. 꿈은 없지만 오늘의 나를 만든 에너지의 근원이 뭔지 곰곰이 생각해보니 불만과 분노였다"고 말했다.
그는 “최선을 택하는 무사 안일에 분노했고 적당한 선에서 끝내려는 타협에 화가 났다. 최고의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는 소명으로 타협 없이 하루하루 마지막인 것처럼 달려왔다”며 “태생적으로 그런 사람이기도 하지만, 음악으로 위로받고 감동을 느끼는 팬들과의 약속을 배신할 수 없어서였다. 그렇게 달려오는 동안에도 분노할 일들은 참 많았다. 엔터산업이 처한 상황은 상식적이지 않았고, 그것들에 분노하고 불행했다”고 말을 이었다.
분노 속에서도 방시혁은 “행복을 느낄 때가 있다. 우리 회사가 하는 일이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치고, 특히 우리의 고객인 젊은 친구들이 자신만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다. 산업적으로는 음악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 것, 그 변화를 나와 우리 빅히트가 이뤄낼 때 가장 행복하다”며 “꿈을 꿔서 이뤄낸 것이 아니다. 세상에 대한 불만과 분노로 변화를 이끌었고 행복으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스로 무엇이 행복한지 생각해보길 바란다. 남이 만들어 놓은 목표와 꿈을 무작정 따른다면 결국 좌절하고 불행해질 것이다”라며 “여러분도 방시혁처럼 분노하고 맞서 싸우기를 당부한다. 그래야 문제가 해결되고 변화한다”고 졸업생들에게 전했다.
방시혁은 서울대 미학과 재학 시절인 1994년 ‘유재하 음악 경연대회’에서 동상을 받으며 가요계에 발을 들였다. 박진영의 눈에 띄어 1997년부터 JYP 대표 작곡가로 활약하며 god의 ‘하늘색 풍선’, 백지영의 ‘총 맞은 것처럼’ 등 히트곡을 만들었다.
2005년에는 JYP를 나와 빅히트를 설립하고 2013년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을 데뷔시켰다. 방탄소년단은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 200’ 2관왕에 올랐고 뉴욕 스타디움을 매진시켰으며 최근에는 그래미어워즈 시상자로 초청받기도 했다.
김나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