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관순 열사에게 독립유공자에게 주어지는 훈장 5등급 중 최고 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 서훈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26일 오전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유관순 열사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로 서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오늘 유관순 열사에게 국가 유공자 1등급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를 했다. 유관순 열사는 3·1독립운동의 상징”이라며 “우리는 16살 나이로 당시 시위를 주도하고 꺾이지 않는 의지로 나라의 독립에 자신을 바친 유관순 열사를 보며 나라를 위한 희생의 고귀함을 깨우치게 됐다”고 추서 이유를 밝혔다.
이어 “유관순 열사가 3·1독립운동의 표상으로 국민들에게 각인돼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1등급 훈장 추서의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유관순 열사의 추서가 3·1독립운동 100주년의 의미를 한층 더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유관순 열사에게는 1962년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3등급에 해당하는 ‘독립장’이 수여됐다. 그러나 유 열사의 공적과 상징성에 걸맞지 않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정부가 유 열사에게 새 훈장을 추서하려는 것은 ‘동일한 공적에 대하여는 훈장 또는 포장을 거듭 수여하지 아니한다’는 현행 상훈법 제4조 때문이다. 국가보훈처는 유 열사의 기존 독립운동 공적 외에 별도의 공적심사위원회를 구성해 참석위원 만장일치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 서훈하기로 심의·의결했다.
보훈처는 “유관순 열사는 광복 이후 3·1운동과 독립운동의 상징으로서 전 국민에게 독립정신을 일깨워 국민통합과 애국심 함양에 기여했다. 비폭력·평화·민주·인권의 가치를 드높여 대한민국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한 부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가 공적을 심의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다음 달 1일 제100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에서 유관순 열사 유족에게 대한민국장을 직접 수여할 예정이다.
강문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