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정부 생활 SOC 사업에 적극 대응하는 ‘생활 SOC 추진단’을 구성하고 2조1000억원 규모의 국비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다고 25일 밝혔다.
경기도는 이날 오후 경기도청 제1회의실에서 이화순 행정2부지사 주재로 ‘경기도 생활 SOC사업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논의를 나눴다.
‘생활 SOC’는 도로·철도 등 대규모 기간시설이 아닌, 보육·복지·문화·체육시설 등 일생상활과 밀접한 인프라를 말하는 것으로, 현 정부에서는 지역 간 균형발전과 국민 삶의 질 증진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도는 이달부터 행정2부지사가 단장, 균형발전기획실장이 부단장으로 참여하는 ‘생활 SOC 추진단’을 구성, 균형발전담당관을 총괄기획반으로 생활안전, 생활편의, 지역개발, 경제환경 등 분야별 사업을 추진해 왔다.
특히 정부의 ‘생활 SOC 3개년 계획(2020~2022)’에 맞춰 도의 생활 SOC 사업이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생활SOC 사업모델 발굴 및 복합화, 중장기 계획 수립, 중앙부처 공모사업 대응 및 재원 마련 등에 나서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추진단이 2월중 실시한 시군 수요조사 토대로, 현 추진현황 및 예산확보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추진단이 파악한 생활 SOC 수요규모는 총 1218개소 7조797억원이다. 이중 국비 예산은 2조1289억원, 도비는 6138억원, 시·군비는 4조342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도는 추가적인 시·군수요를 포함해 중앙에 반영되도록 관철시키고, 중점투자시설에 대한 도 자체 3개년 계획(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생활 SOC 전문가 자문회의, 시·군 합동 간담회, 교육 등을 추진해 정부 사업에 적극 대응태세를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이화순 부지사는 “추진단을 통해 시·군 수요를 철저히 파악, 도에 많은 예산이 배정되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추진해 나가겠다”며 “도민들이 꼭 필요한 생활 SOC 사업을 발굴하도록 국무조정실, 시군 등과 연계협력체계를 구축해 적극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