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5당 원내대표가 2차 북·미 정상회담 성공을 기원하는 공동성명을 25일 채택했다. 2월 임시국회 일정에는 합의하지 못했지만, 공동성명을 채택한 것은 한반도 평화 무드에 힘을 보태려는 시도로 읽힌다.
여야 원내대표들은 성명에서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울 수 있기를 강력히 희망한다”며 “대한민국 국회는 2차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예의주시하며 이후 상황에 초당적으로 대처하기로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정상회담은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해 진행되어야 하며, 향후 주변국과의 공조도 강화해 나가야 함을 천명한다”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정착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울 수 있기를 강력히 희망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중 ‘완벽한 비핵화’라는 문구는 한국당이 반드시 명시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와 미·북 정상회담을 함께 표기한 것 역시 한국당의 의사가 반영됐다고 한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그 내용을 봐야 하는데 북·미 회담 지지결의안은 큰 틀에서 북한 비핵화를 촉구하는 지지결의안이 돼야 한다”며 “그렇다면 당연히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도 “북·미 정상은 국내 정치용으로 북핵 문제를 임시로 봉합하려고 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비핵화라는 공동목표를 확인하고 그에 도달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로드맵과 이정표가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향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이나 국회 연설 추진에는 각 당의 입장이 엇갈릴 전망이다. 나 원내대표는 지난달 “정부가 실질적인 북한 비핵화를 외면하고 김 위원장의 방남만 무리하게 추진한다면 사실상 북한 비핵화가 아니라 그들이 주장하는 ‘조선반도 비핵화’로 가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