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1일 예정된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을 연기했다. 중국과의 무역 분쟁을 멈추고 본격적인 제2차 북·미 정상회담 준비에 돌입한 모양새다. 북한 비핵화 이슈와 중국의 기술·무역 분쟁 사이를 저울질하며 최대한 많은 ‘빅딜’을 이끌어 내기 위한 포석을 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자신의 트위터 계정(사진)에 “미국이 지적재산권 보호, 기술 이전 등 중요한 문제에 대한 중국과의 관련한 무역협상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알리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3월 1일로 예정돼 있는 미국의 관세 인상을 연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관세 인상을 얼마나 미룰 것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은 지난해 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어 2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조치를 단행하며 양국간 긴장감이 고조됐다.
이후 지난해 12월 1일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90일 휴전’을 선언했다. 90일간 이어진 장관급 무역협상에서 관세 분야에 대한 타결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지만, 양국은 지적재산권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합의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해 왔다.
트럼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도 재차 밝혔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양국 (협상단)이 추가 진전을 이룬다는 가정 하에 시 주석과 마러라고에서 정상회담을 계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러라고는 트럼프 대통령이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소유한 리조트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22일 “오는 3월 말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이 잠정적으로 계획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