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수보다 빠른 ‘빚의 증가’…결국 부동산이 늘렸다

입력 2019-02-24 11:27 수정 2019-02-24 11:34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달 25일 서울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에서 금융협회 및 금융회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관리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가구당 부채가 777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가계 부채 증가 속도는 줄어들었지만 빛 부담은 가중되는 상황이다.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이 빚의 증가세를 늦추고 있지만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덩치가 커지고 있는 부채 관리에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전체 가구는 1975만2000가구, 가계신용은 1534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에 비해 가구 수는 1,2%, 가계 부채는 5.8% 늘었다. 가구 수보다 빚 증가 속도가 빠르게 늘면서 가구당 부채는 7770만원으로 추정됐다. 전년도보다 4.6% 증가한 것이다.
가계 부채는 2015~2016년에 부쩍 늘었다. 박근혜 정부 시절, 경기부양 정책을 펴면서 부동산 규제를 대폭 완화한 탓이다. 2014년 당시 정부는 부동산 부양 차원에서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완화했다. 기준금리는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다. 당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빚내서 집 사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 빚의 증가 속도는 가팔라졌다. 이듬해 가구당 부채 규모는 6328만원, 2016년에는 6962만원으로 7000만원에 육박했다. 가구당 부채 증가율의 경우, 2015년 9.1%, 2016년 10.0%로 3~4%대였던 2012~2014년의 2~3배로 불었다. 하지만 현 정부 들어서면서 증가세는 둔화됐다. 가계부채 총량 관리에 들어가면서 2017년 6.7%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4.2%로 낮아졌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및 가계부채 대책으로 대출 증가율 둔화는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가계 부채 규모가 크고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이어지는만큼 저소득층 등 취약 계층의 부채 점검 및 관리에 유념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