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물러난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재산이 취임 시점(2017년 5월)과 비교해 1년 6개월 만에 약 11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현 정부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주도한 장 전 실장의 재산 증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2일 공개한 공직자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에 따르면 장 전 실장은 부동산·예금·유가증권을 합해 104억1693만원을 신고했다. 2017년 5월 취임 당시 93억1000만원과 비교하면 18개월 만에 10억9000만원이 늘어난 셈이다. 장 전 실장은 부문별로 토지 2억7000만원, 건물 17억9000만원, 예금 82억5000만원, 유가증권 1471만원 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 전 실장 부부가 공동소유한 134㎡ 잠실 아시아선수촌아파트는 18개월 동안 11억원에서 15억8000만원으로 4억8000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장 전 실장은 재산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급여 및 투자수익 증가”라고 밝혔다. 장 전 실장은 가족 재산을 고지 거부하지 않고 부친, 배우자, 장남 소유분까지 합쳐 신고했다. 장 전 실장은펜택자산관리 1588주 전량을 매각하며 소유한 유가증권은 다소 감소했다. 장 전 실장은 현재 민간인 신분이다. 다만 퇴직도 변동사유로 보는 공직자 재산신고 기준에 따라 이번 공개대상에 포함됐다.
이를 두고 장 전 실장이 국민에겐 소득주도성장을 주창하고, 반면 본인은 재산주도성장을 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당한 방법으로 재산을 늘렸더라도 고용지표 악화와 최저임금 인상 여파 등으로 서민들이 고생하는 와중에 문재인정부 1기 정책 사령탑이 국민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앞서 장 전 실장은 지난해 9월 라디오에 출현해 “모든 국민이 강남에 가서 살아야 할 이유가 없다”고 언급하는 이른바 ‘강남 발언’을 했다. 이를 두고 ’현실인식이 떨어진다’는 여론이 일었다. 장 실장은 4대에 걸친 호남 명문가 출신이다.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1996년 참여연대에서 소액주주운동을 이끌었다. 미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재무학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고, 양극화를 핵심 문제로 지목하고 재벌체제에 비판을 집중했다.
장 전 실장과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갈등설도 논란이었다. 지난해 두 사람의 갈등은 문재인정부의 경제 정책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탓에 경제팀 내부 충돌이 외부로 퍼진 것이라는 시각이 많았다. 소득 분배율 악화와 경제성장률 둔화로 정부 경제팀 내부의 책임 떠넘기기라는 지적도 나왔다. 야권 관계자는 “돈 많은 사람이 돈 없는 사람의 아픔을 어떻게 알겠느냐”며 “서민을 이해한다고 하지만 절대 이해 못하는 인사를 향후 경제수장으로 세우면 안 된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