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3·1혁명’ 개칭 구상이 한껏 구체화했다. 그동안 밝혀온 ‘100주년’이라는 의미에 학문적 해석까지 덧붙여 추진 배경을 뒷받침했다.
이 대표는 21일 민주당 한반도 새 100년 위원회 준비위(위원장 박광온)가 주최한 ‘3·1혁명과 대한민국의 탄생’ 심포지엄에서 “그동안 3·1운동이라고 불러왔는데 이제는 3·1혁명이라고 용어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임시정부에서도 3·1혁명이라고 써 오고 혼용이 되다가 대한민국을 건립할 때 제헌 과정에서 3·1운동이라는 말로 명명이 되고 나서 지금까지 관습적으로 써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사회과학에서는 가치관이 변하고, 비폭력적으로 이뤄지고, 광범위한 대중운동이 이루어질 때, 그리고 그것을 통해서 하나의 국체가 변할 때 ‘혁명’이라고 규정한다”면서 “(3·1운동도) 봉건제에서 공화제로 바뀌는 국체와 가치관의 전환이 있었고 대다수 국민이 참여해 큰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에 사실상 ‘혁명’이라는 표현이 걸맞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의 10%가 운동에 참여했고 ‘대한제국’이라는 명칭이 ‘대한민국’으로 바뀌면서 공화제로 바뀐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그동안 당 안팎의 행사와 회의에서 “올해는 3·1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라고 말하던 것에서 한층 구체화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대표가 ‘3·1혁명’을 본격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2월부터다. ‘촛불혁명’에서 그 모티브를 따왔다.
이 대표는 당시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와 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주최한 ‘촛불정신과 문재인 정부 개혁과제’ 심포지엄에서 “2년 전 이맘때를 기억하면 감회가 뭉클하다. 1600만 명이 넘는 많은 시민이 촛불혁명을 위해 광화문에 모여 집회를 하는 질서정연한 모습을 보면서 감동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저도 여러 번 참석하면서 ‘이런 염원이 모여서 결국은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는구나’라고 느꼈다. 어떻게 보면 혁명이라고 부를 수 있는, 비폭력·평화적 혁명이라고 볼 수 있고, 그 힘은 바로 3·1운동에서, 3·1혁명을 이어서 여기까지 왔다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의 바람대로 명칭 개정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앞서 국민의 절반가량만 개칭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리얼미터가 지난 19일 전국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3·1운동을 3·1혁명으로 개칭하는 데 찬성한다’는 응답은 49.4%에 불과했다.
특히 보수 성향 응답자들의 반대가 뚜렷했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찬성 24.6% vs 반대 66.9%), 보수층(27.8% vs 65.5%), 60대 이상(30.3% vs 53.8%)에서 반대 여론이 다수로 나타나면서 개정 추진 동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