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대변인의 “환경부 문건은 체크리스트” 발언에 야당이 발끈했다. 청와대를 향해 “국민을 바보로 아나” “적폐 3기 정권이 됐다”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1일 비대위 회의에서 “환경부 블랙리스트를 청와대는 체크리스트라고 하는데, 블랙리스트를 블랙리스트라고 하면서 만드는 경우가 있나”며 “국민을 바보로 알아도 유분수지 이런 궤변이 어디있나”고 따졌다.
김 위원장은 “청와대가 ‘먹칠하지 말라’며 언론을 공격했지만, 먹칠은 스스로 하고 있다”면서 “먹칠하지 말라는 말은 검찰에게 일종의 가이드 라인을 준 것이다. (검찰에게) 정부가 체크리스트라고 하면 체크리스트인 줄 알라는 얘기 아니냐”고도 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문재인판 블랙리스트에 대해 청와대는 체크리스트라고 말장난을 한다”며 “‘내로남불’이 아니라 ‘내체남블’(내가 하면 체크리스트, 남이 하면 블랙리스트)이라는 새로운 닉네임 얘기도 나온다”고 꼬집었다. 이어 “검찰은 환경부뿐 아니라 330개 기관에서 광범하게 이뤄진 블랙리스트 사건에 대해서도 즉각 수사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한국당은 이어 이양수 원내대변인 명의의 논평도 내 “현 정부의 블랙리스트는 찍어내기 및 표적 감사용 ‘데스리스트’”라며 “과거 정부의 블랙리스트는 이미 처벌 받았으니, 현 정부의 블랙리스트도 실체적 규명 후 엄정한 법적 단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도 비판에 가세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이날 당 의원총회에서 “환경부 블랙리스트에 대한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의 반응을 보면 박근혜정부의 문화계 블랙리스트 대응 방식과 너무나 닮았다”며 “마치 3년 전 청와대와 여당의 모습을 리플레이해 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청와대가 지극히 정상적·합법적 업무라고 한 것은 블랙리스트 작성과 표적 감사가 환경부 말고도 모든 부처에서 다 있었던 조직점 범죄임을 스스로 고백한 것과 같다”며 “촛불정권이 아니라 이명박·박근혜 정권에 이은 적폐 3기 정권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오신환 의원은 “환경부 블랙리스트의 몸통이 청와대였음이 밝혀졌는데도, 민주당과 청와대의 반응은 참 이해하기 어렵다”며 “계속해서 블랙리스트를 체크리스트라고 주장하다간 국민의 힘으로 ‘블랙아웃’ 된다는 점을 경고한다”고 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과거 정부 블랙리스트와 이번 환경부 사례는 다르다. 환경부 장관이 산하기관 감사를 벌이게 한 것은 적법한 감독권 행사”라고 밝혔다. “이는 통상 업무의 일환으로 진행해 온 체크리스트”라며 “블랙리스트라는 먹칠을 삼가 달라”고도 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