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외주 용역업체 근로자 이모(50)씨가 숨진 것과 관련해 청년비정규직고(故)김용균시민대책위원회가 “현대제철 원청이 책임지고 죽음의 외주화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이 씨의 사망 과정에 현대제철측의 안전불감증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고 경위조차도 정확히 파악되지 않은 채 당국에서는 정비를 위한 공구를 가지러 갔다가 컨베이어벨트에 끼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대제철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언에 따르면 철광석을 실은 배의 부두 정박료를 낮추기 위해 컨베이어벨트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돌아가고, 컨베이어 주변은 분진과 소음으로 가득하다고 한다. 또 바닥 철판은 심하게 부식돼 구멍이 뻥뻥 뚫려 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또 “노동자의 안전보다 이윤을 위해 돌아가는 제철소, 다단계 하청 구조, ‘애도를 표한다’로 넘어가려는 원청의 책임”이라며 “김용균 동지를 죽인 발전소와 똑같은 제철소가 비정규직 노동자를 죽인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들은 현대제철에서 사망자가 다수 발생했음에도 여전히 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대책위는 “현대제철 당진공장은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무려 36명의 노동자가 작업 중 사망했다”며 “그럼에도 고용노동부는 이번에도 사고가 발생한 컨베이어벨트만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고 했다.
특히 “노동자의 안전과 생명보다 이윤을 우선하는 사회를 바꾸지 않은 한 우리는 또 다른 김용균을 마주할 수 밖에 없다”며 “대책위는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을 처벌하고, 죽음의 외주화를 멈추도록 함께 싸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