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교 막말 대신 로고송 “文, 그 자리 네 자리 아니야”

입력 2019-02-21 16:10 수정 2019-02-21 17:42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저딴 게 무슨 대통령이냐’라고 하는 등 극언을 일삼던 김준교 자유한국당 최고위원 후보가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일단 꼬리를 내리는 모습이다. 김 후보는 21일 부산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과격한 언행으로 전당대회에 누를 끼쳤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자신이 ‘문재인 탄핵 국민운동본부’의 대표라며 지속해왔던 탄핵 주장도 입으로 내뱉는 대신 “문재인은 물러나라”는 내용의 선거로고송으로 대신했다.

최고위원 후보 연설을 위해 단상에 오른 김 후보는 사과 말로 연설을 시작했다. 그는 막말 논란에 대해서 “젊은 혈기에 실수한 것으로 너그럽게 봐주셨으면 좋겠다”며 “당의 대선배들과 다른 후보들에게 깊은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고 말했다.

연설 내용도 과격 발언 일색이었던 이전 연설에 비해 한층 정제됐다. “문재인을 탄핵시키기 위해 출마했다”, “저자를 우리 지도자로 인정할 수 없다” 등의 원색적인 표현도 이날 연설에는 등장하지 않았다. 대신 연설에 앞서 나오는 후보 소개 영상의 배경음악으로 “문재인 물러나라, 그 자리는 네 자리가 아니야”라는 가사의 선거로고송이 1분간 흘러나왔다.



문 대통령을 향해서는 ‘민족 반역자’라는 식의 극단적인 표현은 자제했지만 “베네수엘레가 마두로가 있다면, 한국에는 ‘문두로’가 있다. 문재인 정권이 국민들의 소중한 쌈짓돈인 국민연금으로 재벌과 대기업을 강제로 빼앗고 망하게 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전당대회를 둘러싼 막말 논란이 계속되면서 당 지도부는 사전 예방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날 합동연설회에 참석한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여러분들 듣고 있는 작은 야유, 듣고 계신 지나친 소리는 우리 당의 지극히 작은 일부일 뿐”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박관용 선거관리위원장도 “일부 대의원들의 과격한 행동과 언동을 삼가야 당의 품위가 있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반면 전당대회 의장인 한선교 의원은 “우리 청년최고위원 후보가 문재인을 탄핵해야 된다는 발언을 했다고 해서 문제 될 것이 없다. 문 대통령은 스스로 탄핵의 길로 걸어가고 있다”며 김 후보를 두둔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