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문건 논란과 관련 자유한국당 등 야당이 ‘문재인판 블랙리스트’라며 총공세에 나선 가운데,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 전임 정부의 블랙리스트를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탁 전 행정관은 20일 페이스북에 “블랙리스트란 어떤 공연 연출가가 단지 마음에 들지 않는 공연을 연출했다는 이유로 밥줄을 잘라버리고 자유한국당 집권 내내, 이명박‧박근혜 정부 내내 감시하고 사찰하여 공연장 섭외조차 어렵게 만들어 제주도에서 낚시밖에는 할 일이 없게 만든 후 결국에는 모든 것을 포기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고 적었다.
탁 전 행정관은 “다행히 저는 잘 견뎌낸 편이지만 말이다”며 “당해봐서 알고 있다. 이런 것이 블랙리스트다”고 글을 맺었다.
탁 전 행정관의 언급은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의 입장 발표 후 나왔다. 앞서 김 대변인은 환경부 문건과 관련 “이번 환경부 사례는 합법적인 체크리스트”라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출입기자들에게 ‘블랙리스트란 먹칠을 삼가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서면브리핑을 통해 “블랙리스트라는 말이 너무 쉽게 쓰인다”며 “블랙리스트의 부정적 이미지가 우리들 머릿속에 강렬하게 남아있는데, 문재인 정부의 인사정책에 그 딱지를 갖다 붙이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8년여 동안 관리한 블랙리스트는 2만1362명이었고, 8931명의 문화예술인 피해가 확인됐다”며 “자유한국당이 공개한 ‘환경부 산하기관 동향’ 문건에 거론된 24개의 직위 가운데 임기 만료 전 퇴직이 5곳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는 그런 일을 한 적도 없을뿐더러 그런 리스트를 작성하라고 지시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환경부 문건의 정확한 제목은 ‘환경부 산하기관 임원들의 사퇴 등 관련 동향’이다. 환경부 산하기관 8곳, 임원 24명에 대한 임기와 사퇴 동향 등이 담겼다. 지난해 말 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 수사관이 관련 내용을 폭로하고, 한국당이 김은경 환경부 장관 등을 고발해 검찰이 수사에 나서면서 논란이 불거진 것과는 다른 문건이다.
야당은 환경부 문건을 ‘문재인판 블랙리스트’로 규정하고 총공세에 나섰다.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20일 “김 전 특감반원에 따르면 블랙리스트는 330개 기관 660명에 이른다”면서 “그 규모나 정도 면에서 이전 정권과는 급이 다른 초대형 블랙리스트”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른미래당 이종철 대변인 역시 20일 “청와대는 블랙리스트도 나쁜 블랙리스트가 있고 착한 블랙리스트가 있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냐”며 “청와대야말로 민주주의에 먹칠을 삼가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강문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