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동포 살릴 페트병아! 북녘으로 잘 가거라”[영상]

입력 2019-02-19 19:14 수정 2019-02-19 22:10
탈북난민인권연합과 CCC나사렛형제들 회원들이 19일 인천 석모도에서 쌀과 성경말씀, 구충제가 담긴 페트병 615개를 바다에 던지고 있다. 석모도=강민석 선임기자

북한 연안군에서 직선거리로 11㎞ 떨어진 인천 석모도는 매달 두 차례 북한 해주 쪽으로 흘러가는 강한 해류가 형성된다.

19일 오전 10시쯤 탈북난민인권연합 소속 회원과 한국대학생선교회(CCC) 출신 나사렛형제들 회원 10명이 눈길에서 페트병 615개를 담은 포대 50개를 바닷가 쪽으로 옮기기 시작했다.

1.5ℓ 페트병에는 쌀 1.3㎏과 구충제, 짤막한 설교 말씀이 적힌 종이가 들어간다. 페트병 외부엔 비닐로 밀봉한 성경책과 라디오를 테이프로 단단히 고정한다.


쌀을 던지기 전 김철해 광주 벧엘교회 목사가 메시지를 전했다. 김 목사는 “어둠에 사는 사람들에게 생명의 빛이 필요하다”면서 “감사하게도 우리에겐 줄 수 있는 사랑의 쌀과 복음이 있다. 우리 마음이 페트병을 통해 전해지도록 간절히 기도하자”고 말했다.

탈북난민인권연합과 CCC나사렛형제들 회원들이 19일 페트병을 바다에 던지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석모도=강민석 선임기자

이날 날씨는 영상 1도였지만 눈발이 흩날렸고 쌀쌀한 바닷바람 때문에 체감온도는 훨씬 낮았다. 볼펜 잉크가 얼어 써지지 않을 정도였다.

언 손으로 페트병을 바다에 던지던 탈북민 박운병(71)씨는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 고위층들은 자기들끼리 알아서 잘 살지만, 서민들은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다”며 “탈북민 입장에서 봤을 때 페트병이야말로 쌀과 복음을 서민들에게 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2000년 탈북한 이재건(82)씨도 “북한에서 식량은 돈이나 마찬가지”라면서 “황해도는 중국 접경지대가 아니어서 외부 세계의 정보는 물론 식량도 얻기 힘들다. 주민과 해안 경비대에게 전달되는 페트병은 1개월치 급여와 같다”고 귀띔했다.

페트병을 같이 던진 웬디 화이트 크리스천 프리덤 인터내셔널 대표는 “하나님의 사랑으로 북한의 굶주린 사람들에게 쌀과 성경을 전해주려는 남한 크리스천들의 노력이 대단하다”며 “북한 주민에게 쌀과 성경이야말로 진짜 인권”이라고 강조했다.

페트병에 들어간 성경말씀 종이.

서울 온누리교회에 출석하는 김용화(66) 탈북난민인권연합 회장은 2016년부터 지금까지 4만5000개가 넘는 페트병을 북한으로 보냈다.

김 회장은 “매달 300만원이 넘는 돈이 필요한데 힘에 부친다. 하지만 우리가 보낸 페트병을 받고 탈북했다는 북한 주민을 만날 때마다 힘이 난다”고 웃었다.

페트병은 빠르면 4~7시간 만에 황해도 해변에 도착한다. 작은 페트병이 기아에 굶주린 북한 주민들이 외부 소식과 복음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인 셈이다.

CCC나사렛형제들 소속 이선상(62)씨는 “이 쌀은 북한 주민에게 생명이자 복음이다. 하나도 유실되지 않고 동포들에게 전달되도록 해달라는 간절한 기도를 드리면서 페트병을 던졌다”고 말했다.

이경우(58)씨도 “CCC 출신 신앙인들이 매달 2회 모여 북한동포를 살리기 위해 돈도 모으고 페트병 포장도 하고 있다”면서 “남한 성도들은 하나님 말씀대로 고아와 과부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북한 주민을 먹여 살려야 한다”고 호소했다.

비닐에 밀봉된 성경이 페트병에 붙어있다.

이날 쌀 800㎏과 성경책 100권이 북쪽으로 흘러 들어갔다. 다음 달에는 7일과 22일 보낸다. 후원은 탈북난민인권연합과 나사렛형제들신협을 통해 할 수 있다.

석모도(인천)=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