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최고위원은 19일 오후 자신이 운영하는 페이스북 페이지 ‘하태경의 라디오하하’에서 “여가부가 반성을 안 한다. 외모검열을 하겠다고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교육용 자료라는 궤변을 늘어놓는다”고 비판했다.
하 최고위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가이드라인’ 정의를 보면 언론 보도에 대한 정부의 보도지침이라고 나온다”면서 “이번 사태의 본질은 국가가 개입해서는 안 되는 부분에 여가부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미디어와 대중의 선호도를 좌지우지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 있다. 독재 회귀 선언한 것”이라고 몰아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진선미 장관 여두환이 아니라 알고 보니 전두환 대통령 같은 용기도 없는 물선미 장관이군요”라며 “장수라면 본인이 직접 나서야지 연구원 앞세워서 절 비판하네요”라고 적었다.
하 최고위원이 페북 페이지에 함께 올린 중앙일보 기사는 논란이 된 가이드라인의 연구를 담당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이수연 선임연구위원의 인터뷰가 담겨 있다.
이 위원은 “우리나라는 단순히 마른 몸매 정도가 아니라 하얗고, 눈이 크고, 갸름한 얼굴 등으로 미의 기준이 단일화되는 경향이 있다. 외모가 경제적인 자본으로 치환되는데, 그걸 더 부추기는 게 미디어”라면서 “방송 자막 하나만 봐도 외모 지상주의를 심하게 부추긴다. 여성 출연자가 나왔다 하면 ‘미모, 동안’ 주입시킨다. 못 생긴 사람을 못생겼다고 지적하고, 자학 개그의 소재로 쓴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은 “우리가 외모지상주의에 매몰돼 있다는 걸 인정해야 한다”면서 “방송 제작을 규제할 의도도, 그럴 권한도 없습니다. 가이드라인은 다만 방송 제작자들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교육용 자료”라고 강조했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