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9일인 오늘은 절기상 봄을 맞을 준비가 된 ‘우수(雨水)’다.
한국세시풍속사전에 따르면, 24절기 중 ‘우수’는 봄 절기 중 2번째 절기다.
입춘이 지나고 보름 뒤인 우수는 눈이 녹아서 비가 되는 절기라는 뜻을 갖고 있다. 우수에는 ‘우수 뒤의 얼음같이’와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등 속담도 있다. ‘우수 뒤의 얼음같이’는 우수가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러지고 싹이 튼다는 의미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는 우수 경칩이 지나면 대동강도 녹고 아무리 춥던 날도 풀린다는 뜻을 담고 있다.
평안도 민요 ‘수심가’에서 “우수 경칩에 대동강이 풀리더니 정든 님 말씀에 요 내 속 풀리는구나”라는 노랫말이 있을 만큼 이 시점엔 완연한 봄기운을 느낄 수 있다.
올해 우수는 정월대보름과도 겹쳐 오곡밥 먹기, 부럼 등 세시풍속을 즐기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이날은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져 슈퍼문을 볼 수 있는 날이기도 하다.
정지원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