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는 18일 발표한 2019년 KBO 리그 소속선수 및 연봉 현황에 따르면 신인과 외국인선수를 제외한 소속선수 501명의 평균 연봉은 1억5065만원으로 2018년 KBO 리그 최초로 1억5000만원 선을 돌파한 1억5026만원보다 0.3% 가량 소폭 증가했다.
구단 별 평균 연봉은 롯데 자이언츠가 1억9583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NC 다이노스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1억678만원에서 2019년 1억6576만원으로 5898만원이 올라 올 시즌 최고 인상액과 최고 인상률(55.2%)을 기록했다.
KBO 리그 엔트리 등록 인원수 기준(신인/외국인선수 제외) 평균 연봉은 2억5142만원으로 지난해 2억5560만원에 비해 418만원이 줄었다. 구단 별로는 2018년에 이어 올해도 롯데(3억4570만원)와 KIA(3억563만원)가 평균 연봉 3억원 이상을 기록했으며 2018 KBO 한국시리즈 우승팀 SK가 3억2281만원으로 3억원 구단 대열에 합류했다.
연봉 1억원 이상을 받는 선수는 156명으로 지난해 164명에서 8명이 감소했다. 신인과 외국인선수를 제외한 501명 중 31.1%를 차지한다. 억대 연봉 선수는 리그 평균 연봉과 비슷한 수준인 1억5000만원 이상이 121명으로 24.2%였으며 구단 별 연봉 상위 27위 기준 평균 연봉으로 조사된 2억5000만원 이상은 74명(14.8%)이었다.
롯데 이대호는 연봉 25억원으로 3년 연속 개인 최고 연봉 선수 자리를 유지했으며 삼성 이승엽(2013년), LG 이병규(2015년)의 19년차 최고 연봉(8억원)을 경신했다. KIA 양현종은 23억원으로 투수부문 연봉 1위 타이틀을 지켰으며 2013년 한화 김태균이 기록한 13년차 최고 연봉(15억원)을 넘어섰다. 구단 별 최고 연봉은 KIA 양현종을 비롯해 NC 양의지(20억원), SK 김광현(15억원), 키움 박병호(15억원), LG 김현수(13억원), 삼성 강민호(12억5000만원), KT 황재균(12억원), 한화 김태균(10억원), 두산 김재환(7억3000만원)이 각각 기록했다.
FA 계약으로 두산에서 NC로 팀을 옮긴 양의지는 연봉 20억원으로 20억원대 연봉 선수 명단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2018년 연봉 6억원에서 무려 14억원이 오르며 역대 최고 연봉 인상액 8억5000만원(2018년 롯데 손아섭)을 훌쩍 뛰어 넘었다.
2019년 14억원의 연봉을 받게 된 SK 이재원은 지난해 연봉 3억5000만원에서 10억5000만원이 올라 양의지에 이어 역대 최고 연봉 인상액 2위에 올랐다. SK 김태훈은 350%의 인상률로 올 시즌 최고 연봉 인상률을 기록했으며 역대 순위로 4위에 올랐다.
지난해 7년차 최고 연봉 선수였던 NC 나성범은 올 시즌 연봉 5억5000만원으로 2002년 이승엽의 8년차 최고 연봉 4억1000만원을 17년 만에 갈아치웠다. 키움 이정후 역시 지난해 2년차 최고 연봉에 이어 2019년에는 한화 류현진의 3년차 최고 연봉 1억8000만원(2008년)을 2억3000만원으로 바꿨다. 지난해 KBO 신인상을 수상한 KT 강백호는 2018년 이정후가 받은 2년차 최고 연봉(1억1000만원)에서 1000만원이 오른 1억2000만원으로 그 위상을 증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