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된 산림헬기의 교체 작업이 2025년 완료될 전망이다. 또 정상적이지 않은 비행습관을 가진 산림헬기 항공 승무원들을 징계할 수 있는 기준도 마련된다.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산림항공 안전대책’을 13일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산림항공기 승무원들의 안전의식 혁신과 장비·시스템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된다.
항공본부는 우선 산림헬기 사고의 75%를 차지하는 인적요인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헬기의 비행자료를 분석하는 ‘운항품질보증(FOQA)’ 제도를 도입한다.
FOQA(Flight Operation Quality Assurance)는 모든 비행자료를 분석해 비정상적인 조종특성을 발굴하는 제도로, 잠재적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분석된 비행자료를 바탕으로 조종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반복적인 비행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재교육·평가를 실시한다.
항공본부는 또 보잉사에서 개발한 인적오류 분석 툴인 ‘정비오류식별기법(MEDA)’ 제도를 도입하고, 비행 안전성·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비행 중 승무원간 소통도 강화한다. 여기에 승무원 비행자격 심의 기준을 마련해 잘못된 비행습관 등을 심의할 수 있도록 만든다.
장비분야 개선의 경우 기존과 달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해 자료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비상상황과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도록 ‘모의비행훈련장치’를 도입해 훈련을 실시하고, 노후화한 경년헬기는 2025년까지 50대 확충을 목표로 교체를 추진한다. 특히 헬기 내부에 대용량 비상탈출용 산소장비(HEED), 비상탈출구 표지, 후방·외부확인 장치를 설치하는 등 안전장비 지원도 강화한다.
항공본부는 이밖에 항공조직, 인력 등도 면밀히 분석해 체계적인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을 만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안전 관련 보고시스템을 개선하고 정비사의 헬기 탑승 기준을 보다 세부적으로 마련한다. 조종사·정비사 등 인력 보강을 통해 비상시 교대인원 부족과 승무원 피로 누적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김용관 산림항공본부장은 “더 이상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제도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겠다”며 “관계부처와 협의해 범정부적 차원의 총력대응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