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김진태·이종명·김순례 의원의 5·18 광주 민주화운동 폄훼 발언과 관련해 당 대표자 자격으로 역사 왜곡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김 위원장은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에서 “5·18 공청회로 마음에 상처를 입은 유가족과 광주시민들에게 당을 대표해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역사 해석의 견해차를 넘어서 이미 입증된 사실에 대한 허위가 명백했다. 헌정질서 문란 행위자를 옹호하는 대목을 확인했다. 당 강령에 제1의 사명으로 명시한 헌법적 가치·법치주의 존중 정신을 위배하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5·18에 대한 당의 입장은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민주화운동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3년 문민정부를 ‘5·18 연장선상에 있는 정부’라고 선언했던 것과 궤를 같이 한다”며 “전임 두 대통령(이명박·박근혜) 재임기간에도 우리 당은 이런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했다. 앞으로도 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 비대위원장으로서 이 문제를 (한국당) 중앙윤리위원회에서 엄중하게 다룰 것을 요청한다. 나에게도 막지 못한 책임이 컸다. 윤리위에서 비대위원장인 내 관리감독 책임도 엄중히 따져 달라”고 당부했다.
김진태·이종명·김순례 의원은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 참석해 1980년 5월 민주화운동을 ‘북한군 개입 폭동’으로 규정하고, 민주화 유공자를 ‘괴물 집단’으로 폄훼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튿날 보도자료를 내고 “일부 의원의 발언은 당의 공식입장이 아니다”라고 주장했지만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고 사족을 붙여 논란을 부추겼다. 김 위원장은 세 의원의 발언을 ‘허위사실’로 규정해 나 원내대표의 입장도 뒤집었다.
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은 이날 오전 ‘국회의원 김진태 징계안’ ‘국회의원 김순례 징계안’ ‘국회의원 이종명 징계안’을 각각 국회 의안과에 제출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