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전당대회를 앞두고 터진 ‘5·18 폄훼 논란’으로 고립무원 상태에 빠졌다. 5·18 관련단체들이 법적대응도 불사하겠다며 강하게 반발하는데다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이 5·18 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규정한 해당 의원들을 제명하겠다고 나섰다. 당내에서도 근거없는 음모론을 제기했다며 책임론을 들고 나오면서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5·18기념재단과 5·18민주유공자 3단체(5·18민주유공자유족회,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5·18구속부상자회) 등은 11일 공동성명을 통해 “한국당 의원들의 망언은 5·18 진상규명을 방해하기 위한 의도적 발언이며 유가족과 피해자, 광주시민을 두 번 죽이는 범죄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국당은 망언을 한 의원을 제명하고 즉각 사과하라”며 “해당 의원에 대한 고소·고발, 청와대 국민청원 등 전국민적 퇴출운동을 펼쳐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진태 김순례 이종명 의원은 8일 국회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 참석해 5·18민주화운동을 북한군이 개입한 폭동이라고 비난했고, 민주화 유공자를 ‘괴물집단’이라고 폄훼해 파문을 일으켰다.
수습에 나선 나경원 원내대표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고 말한 것도 사태를 악화시켰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5·18은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며 재차 수습에 나섰지만 정작 당사자인 김진태 의원은 ‘북한군 개입설’을 계속 주장하며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해야 하다”고 맞서고 있다.
당내에서도 쓴소리가 나왔다. 장제원 한국당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역사 퇴행적 급진 우경화는 보수결집은커녕 보수 환멸을 조장해 스스로 고립을 자초한다”며 “시대착오적 급진 우경화는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무성 의원도 “5·18은 누가 뭐래도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상징하며 역사적 평가와 기록이 완성된 진실”이라며 “해당 의원들이 결자해지하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김순례 김진태 이종명 의원을 국회 윤리위에 공동 제소키로 11일 합의했다. 여야 4당은 이들의 5·18 모독 발언을 민주주의의 부정으로 규정해 가장 강력한 제재인 ‘제명’까지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제명이 가결되려면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해 실제 제명안이 통과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