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특별감찰반의 민간인 사찰 의혹 등을 폭로했던 김태우 전 검찰수사관이 10일 “청와대 특별감찰반장이 지난해 7월 드루킹이 특검에 제출한 이동형저장장치(USB) 내용을 파악해 보라고 지시했었다”고 추가 폭로했다. 청와대가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허익범 특검팀의 수사 상황을 불법적으로 조회했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김 전 수사관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이 주장하면서 “검찰은 이인걸 당시 특감반장을 주저하지 말고 소환해 지시를 내린 윗선이 누군지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수사관에 따르면 이 전 특감반장은 지난해 7월 25일 오전 11시 11분 김 전 수사관을 비롯한 검찰수사관 출신 특감반원 4명이 있는 털레그램 단체방에 한 언론 기사 링크를 올렸다. ‘드루킹 김동원씨가 체포되기 직전 빼돌렸던 60기가 분량의 USB를 특검에 제출했다’는 보도였다고 김 전 수사관은 전했다. 그는 “이 특감반장이 ‘이거 맞는지, USB에 대략 어떤 내용 있는지 알아보면 좋겠는데…’라고 지시했고, 13분 뒤인 오전 11시 24분 박모 특감반원이 ‘USB 제출은 사실이며, 김경수와의 메신저 내용을 포함하여 댓글 조작 과정 상 문건이라고 합니다’라는 보고를 했다”고 말했다.
김 전 수사관은 “이 특감반장이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김경수 경남지사가 수사 받는 상황을 알아보라고 지시하고, 이에 박모 특감반원이 기사 내용은 맞는지, USB의 대략적 내용은 무엇인지 확인한 것”이라며 “이 대화 내용은 제 휴대전화에서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증거자료인 텔레그램 대화 내용은 서울동부지검과 수원지검도 확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드루킹 특검의 수사 상황을 청와대가 알아본 이유는 무엇일지, 청와대에서 특검 수사를 가장 궁금해 했을 사람은 누구였을지, 그 답은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도 했다.
김 전 수사관의 추가 폭로는 지난달 해임 처분을 받고 검찰 수사도 막바지에 이른 상황에서 다시 한 번 자신의 공익제보자 성격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청와대 상부의 지시로 2017년 하반기 진행하던 유재수 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 비리 의혹 감찰이 무마 됐으며, 지난해 9월 흑산도 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에 대한 ‘찍어내기’ 시도가 있었다는 주장도 내놨다.
김 전 수사관은 “저는 오는 12일 오전 10시 수원지검에서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소환 조사를 받는다”며 “제가 누설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청와대 비리이지, 공무 비밀은 아니다”라고 항변했다.
지호일 심우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