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무역협상에 북한 활용 가능성” 우려, 미·중 베트남 회동 불발

입력 2019-02-08 10:28 수정 2019-02-08 13:4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2월 1일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미중 정상 만찬 회동을 갖고 악수하고 있다. 당시 양국 정상은 무역전쟁을 휴전하고 90일간의 협상기간을 가지기로 했다. 신화,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회담이 사실상 무산됐다. 27~28일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미·중 정상회담이 연쇄적으로 열리면서 한국전 종전선언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힘을 잃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여성의 글로벌 발전과 번영에 대한 대통령 메모’에 서명하는 행사에서 시 주석과의 만남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니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앞서 미 CNBC는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미·중 무역협상에서 양국의 의견차가 커서 마감시간(3월 1일) 이전에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도했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 쟁점 부분에서 상당한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만나긴 만날 것이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 만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지난 5일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정연설에 앞서 미 방송사 앵커들과의 오찬에서 이달 말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따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 주석과 3자 회동을 하거나, 더 나아가 문재인 대통령까지 참가하는 4자 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한국전 종전선언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 시기를 3월 2일 이후로 늦추면서 4자회담 등에 대한 각종 예측이 힘을 잃었다.

CNBC는 중국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직후 미·중 정상회담을 열자고 제안했지만, 백악관 참모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를 반대하는 조언을 했다고 보도했다. ‘미·중 무역협상이 복잡한 상황에서 중국이 북한을 무역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극적인 결과를 낳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베트남에서 만날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