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가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양승조 충남도지사, 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도지사 등 4개 시·도지사는 7일 오전 대전시청에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를 위한 충청권 공동선언문’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혁신도시 추가 지정 충청권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각 시·도는 공동선언문을 통해 “그동안 석탄화력발전은 국가 경제 발전을 견인해왔지만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등은 국민에게 큰 고통과 불안을 안겨주고 있다”며 “지속적인 환경오염은 우리 삶의 공간마저 위협하며 더 큰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4개 시·도는 노후 석탄화력 조기 폐쇄와 친환경 연료전환, 노후 석탄화력 수명 연장 성능 개선 사업 즉각 중단 촉구,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와 분산·분권형 전원 확대, 시민 참여형 에너지 산업·문화 형성 등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이들은 또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혁신도시 추가 지정과 함께 공공기관 이전도 촉구하고 나섰다.
각 시도는 “2004년 참여정부는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충청권에 건설된다는 이유로 충남도와 대전시를 혁신도시 대상지에서 제외한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을 발표하고 추진해 왔다”며 “이는 국가 균형발전의 근본 취지를 충실히 반영하지 못했고, 문재인 정부의 ‘혁신도시 중심 지역성장 거점 육성 정책’도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정주여건 개선 등 혁신도시 발전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수도권이 아닌 광역 시·도에 1곳 이상의 혁신도시를 지정해 주길 바란다”고 역설했다.
이밖에 4개 시·도는 “각 지역의 특성과 공공기관의 특수성을 감안한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추가 지방 이전을 시행해 달라”고 촉구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