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산에서 수소전기자동차(수소차)를 구입하면 전국 최고 수준인 대당 3450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부산시는 11일부터 수소차 보급을 위한 구매보조비 지원 신청을 받는다고 7일 밝혔다.
지원 규모는 200대이며, 구매보조금은 대당 3450만원(국비 2250만원, 시비 1200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수소차는 최대 660만원의 세제 감면(개별소비세 400만원, 교육세 120만원, 취득세 140만원)과 공영주차장 주차료 50%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광안대로 통행료 면제 혜택도 주어진다.
신청대상은 부산에 주소를 둔 만 18세 이상 시민과 부산에 사업장이 있는 법인, 기업,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등이다. 구매 가능 차량 대수는 개인과 기관 모두 1대로 제한한다.
신청방법은 지정 제조·판매사를 방문해 구매지원 신청서를 작성하면 제조·판매사가 구매자를 대신해 서류를 부산시에 제출하고 시는 지원 가능 여부를 제작사에 통보한다.
보조금을 받은 수소차 구매자는 2년간 의무 운행을 해야 하며, 의무 운행 기간 안에 폐차나 수출할 경우 부산시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번 사업의 대상차량으로 유일한 국산 수소연료전지차인 현대자동차 ‘넥쏘’의 대당 가격은 개별소비세와 교육세 감면 후 ‘모던’이 6890만원, ‘프리미엄’이 7220만원이다. 따라서 이번 사업을 통해 3440만~3770만원이면 구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간 수소차 보급의 걸림돌이었던 부산의 수소충전소 부재는 내달 초 강서구 송정동을 시작으로 4월에는 사상구 학감대로변에 충전소가 들어서면서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현재 지역의 수소충전소는 울산에 4곳, 경남 창원에 2곳 운영 중이다.
수소차 넥쏘의 제작사인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사업으로 지역에서 수소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넥쏘는 5분 충전에 609㎞ 주행이 가능하며 배출되는 것은 오직 물뿐일 정도로 친환경 부문에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김종범 시 제조혁신기반과장은 “이번 사업은 점점 늘어나는 미래형 친환경차에 대한 시민들의 구매욕구에 부응하고 미세먼지 등 도심 대기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앞으로 수소도시 부산의 기반조성을 위해 수소차 등 친환경자동차 보급과 인프라 구축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수소차를 현재 1000여 대에서 2022년엔 8만1000대로 늘려 보급하고, 충전소도 현재 14곳에서 2022년엔 310곳으로 확대하는 등 수소 모빌리티 산업을 진흥하고 수소 연료전지 보급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수소의 대량 생산, 저장, 운송 등 산업생태계 발전을 위해 수소 액체화 및 고체화 등의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수소 파이프라인 확대, 운반 선박 개발, 해외 생산 및 인수기지 건설 같은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관련 기준 마련 등도 추진한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