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의 평균 매매가격이 4년 7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KB국민은행 리브온은 2일 지난달 서울의 주택 평균 가격이 6억3819만원으로 전월(6억7680만원) 대비 5.7%(3861만원) 하락했다고 밝혔다.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격이 내려간 것은 2014년 6월 이후 4년7개월 만에 처음이다.
정부가 9·13대책을 발표한 뒤 지난해 11월 서울 주택 중위가격이 떨어졌고 평균 매매가격까지 내려간 것이다.
리브온에 따르면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종합부동산세 중과 등의 조치로 매수심리가 꺾였고 시장엔 급매물이 쌓였다. 최근 현실화율을 반영한 단독주택 공시가격을 발표한 뒤로 하락세는 더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공시가가 급등하면서 보유세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8억1439만원으로 8억1595만원이던 전월보다 0.19% 떨어졌다. 낙폭은 크지 않아도 하락 전환한 것은 2014년 12월 이후 4년여 만이다.
2017년 3월 평균값이 6억원을 넘어선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초부터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같은해 10월엔 8억원을 돌파했다.
단독주택의 하락폭은 아파트보다 더 컸다.
지난달 서울 단독주택 평균 매매가가 8억105만원으로 1.28%(1039만원) 하락했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평균 17% 이상 급등하면서 매매 호가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국의 주택 평균가격도 3억4313만원으로 전월(3억5236만원) 대비 하락 전환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