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공원 녹지가 많은 곳에 살면 뇌졸중과 심장병 발생 위험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뇌·심혈관질환은 개인적 위험 요인 뿐 아니라 거주지 등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이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뇌·심혈관질환 위험 감소가 두드러졌다.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선 도시에 공원 녹지의 면적을 늘리는 도시계획 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시사해 준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제1저자 서수민 연구원)은 지역환경 요인 중 도시공원 면적과 뇌·심혈관질환 발생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7대 대도시(서울과 광역시)에 사는 20세 이상 남녀 35만1409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2005년에 거주하는 시군구 단위 행정구역의 도시공원 면적이 넓을 경우 향후 8년간(2006-2013)의 뇌·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감소했다고 1일 밝혔다.
거주 지역내 공원 면적이 좁은 곳에 사는 사람에 비해 넓은 곳에 사는 사람은 뇌·심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발생 위험도가 각각 15%, 17%, 13% 감소했다.
서수민 연구원은 “거주지역 주변의 도시공원 면적이 넓으면 뇌심·혈관질환 위험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지역의 환경 요인이 개인 건강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민 교수는 “자연 녹지가 아니라 도시 내 공원 녹지의 중요성을 확인해 준 연구라는데 특히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진 것 없지만, 선행 연구를 보면 공원에선 걷기 등 사람들의 신체활동이 많고 이를 통해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같은 대사성질환 위험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공원 녹지가 최근 인체 유해성이 확인된 미세먼지의 확산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도 한몫하지 않나 추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소득층의 뇌·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특히 낮은 것에 대해선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피트니스센터 등을 이용하는 경향이 많은데 비해 저소득층은 공원 녹지를 쉽게, 많이 이용하는 등 환경적 여건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을 포함하는 뇌심·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다. 국내에서도 인구 고령화와 서양 식습관으로 발생 및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환경저널(Environment International)’ 1월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