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가 시작된다. 이번 설에는 친하다는 의미가 담긴 ‘친가(親家)’와 바깥·타인이라는 의미의 ‘외가(外家)’ 대신 ‘아버지 본가’ ‘어머니 본가’로 불러보면 어떨까? ‘장인·장모’ ‘시어머니·시아버지’라는 호칭도 처가 시가 구분 없이 ‘어머님’, ‘아버님’으로 고쳐 부르면 어떨까?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1일 개선해야 할 성차별적 언어·호칭 7건과 쓰지 말아야 할 속담 및 관용표현 7건을 모아 ‘서울시 성평등 생활사전-설특집’을 발표했다.
명절에 흔히 겪는 성차별 언어 7건은 가족을 부를 때나 다른 사람에 소개할 때 주로 쓰이는 단어들이다. 지난해 시민이 직접 제안했던 성차별 언어 중 가족 호칭 관련 총 522건을 별도로 모아 국어·여성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선정했다.
먼저 ‘집사람’ ‘안사람’ ‘바깥사람’은 ‘배우자’로, ‘외조’ ‘내조’는 ‘배우자의 지원(도움)’으로 부르자고 제안했다. 또 ‘주부’는 양성 모두에게 사용 가능한 ‘살림꾼’으로 바꾸고, ‘미망인’은 ‘故○○○의 배우자’로 풀어쓰기를 권장했다. ‘미혼모’도 주체적인 의미를 담아 ‘비혼모’로 순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또 자주 사용되는 성차별 속담·관용표현의 목록을 뽑아 서울시성평등생활사전자문위원회를 통해 선정했다. 가장 쓰지 말아야 할 표현으로는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가 뽑혔고, ‘남자는 돈 여자는 얼굴’ ‘남자는 일생에서 세 번만 울어야 한다’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사내대장부가 부엌에 들어가면 OO가 떨어진다’ ‘미운 며느리 제삿날 병난다’ ‘사위는 백년지객(백년손님)’ ‘여자 팔자는 뒤웅박 팔자’도 선정됐다.
강경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시민들이 명절에 겪는 성차별적 언어와 행동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해 이번 설 명절부터는 실생활에 바로 적용 가능한 팁을 제시하게 됐다”며 “서로에게 상처가 되는 언어와 행동 대신 성평등한 언어와 행동으로 가족·친지와 함께 즐거운 설 명절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 성평등 생활사전’은 서울시민의 생활 속 언어와 행동을 성평등하게 바꾸자는 취지로 진행되는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의 캠페인으로 지난해 5월 시작해 이번에 세 번째 발표됐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이번 설 연휴 동안 가족들이 사다리 게임으로 집안일을 나누는 모습을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5000원 상당의 기프티콘을 주는 ‘집안일 나누기’ 캠페인도 진행한다. 작년 추석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발표한 ‘성평등 생활사전-추석특집’ 편에서 남녀가 뽑은 명절 성차별 1위는 ‘여성만 하는 가사노동’이었다.
포털사이트에 사다리 게임을 검색하거나 앱을 설치한 후 참여자와 집안일을 입력, 게임 시작 버튼을 누르면 집안일을 랜덤으로 나눌 수 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유튜브 채널에서 재단이 제작한 ‘명절 집안일 나누기 사다리게임’ 영상을 참고하면 된다. 종이 등에 직접 손으로 그려 인증해도 된다. 응모는 사다리 게임에 참여한 후 명절 집안일 나누기가 완료된 화면을 캡쳐해 이메일(newsletter@seoulwomen.or.kr)로 보내면 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