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현대차 루비콘강 건넜다…30일 노사민정협의회 통과되면 31일 투자협약 체결.

입력 2019-01-30 15:16 수정 2019-01-30 15:49

광주시와 현대차가 장고 끝에 루비콘 강을 건넜다. 임금은 낮추고 일자리는 늘리는 ‘광주형 일자리’를 전제로 한 10만대 생산규모의 광주 완성차 공장 건립에 대해 1,2대 주주로서 투자협약안에 잠정 합의했다.

광주시가 그동안 현대차와 대립각을 세워온 지역 노동계와 물밑에서 꾸준한 협상을 벌여왔고 이목이 집중되는 노·사·민·정협의회를 설 명절 이전 개최하는 점으로 볼 때 지난해 12월 타결 직전 무산된 투자협약식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광주시는 30일 오후 5시 노·사·민·정 협의회를 갖고 현대차와 도출한 잠정 합의안에 대한 지역 노동계의 동의를 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 최상준 광주경총 회장, 백석 경실련 대표 등이 참석하는 협의회는 지난해 12월 5일 현대차와의 투자 협상이 성사 하루 전에 결렬된 이후 처음 개최되는 것이다.

협의회는 그동안 투자협상에 대한 경과보고에 이어 광주시의 잠정 합의안을 심의·의결하게 된다.

시는 잠정 합의안을 지역 노동계가 수용해 노사민정협의회를 통과할 경우 31일 여야 주요 정치권 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차와 투자 협약식을 갖게 된다.

민선 6기 이후 수년간 공들여온 광주형 일자리의 첫 결실을 거두게 되는 것이다.

시와 현대차는 최근 비공개 협상에서 마지막 쟁점으로 투자협약식의 걸림돌이 된 ‘임금·단체협상 유예’ 조항에 대해 절충점을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잠정합의안은 지역 노동계의 주장대로 이 조항이 5년간 또는 35만대 생산 때까지 임·단협 유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내용을 추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날 오전 한국노총 광주본부에서 열린 정기 대의원 대회에서는 이용섭 시장이 참석해 ‘광주형 일자리’ 성공에 힘을 실어달라고 호소했다.

이 시장은 “그동안 사례가 없고 노동계와 현대차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려 협상이 어려웠지만 지난해 협약 체결이 무산된 이후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위해 매진했다”고 밝혔다.

그는 “현대차의 투자를 성공시켜 다른 지역으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확산시키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우리나라 경제 체질과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하자”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윤종해 의장은 “광주형 일자리 참여를 결정하면서 질타와 논란의 중심이 됐으나 청년들에게 일자리 기회를 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힘들지만 이 길을 갈 것이고 짐을 짊어질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하도록 힘쓰겠다”고 화답했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지난해 12월 노동계가 반발하는 임단협 유예조항을 빼고 연봉(초봉) 주 44시간에 3500만원, 생산 규모 연산 10만대 등의 수정안을 의결했다.

그러나 현대차가 이를 투자협약식 하루 전에 전격 거부하는 바람에 문재인 대통령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릴 예정이던 행사가 이례적으로 취소된 바 있다.

독일 폭스바겐의 ‘아우토 5000’을 모델로 한 광주형 일자리는 ‘반값 임금’과 함께 주거 의료 복지 혜택을 추가로 제공받는 노사상생형 일자리다.

협약내용에 따르면 완성차 합작법인의 1대 주주인 광주시는 합작법인의 자기자본금 2800억원 중 21%인 590억원, 2대 주주인 현대차는 19%인 530억원을 투자한다.

시와 현대차는 이어 금융권에서 4200억원을 대출받는 등 7000억원을 투입해 정규직 1000여명 등이 연간 소형SUV 10만대를 생산하는 완성차 공장을 건립할 예정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