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이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석학, 연구진과 만나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섰다.
효성은 MIT 교수진과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 6곳이 29일 효성 마포 본사를 방문해 ‘MIT 산학연계프로그램(ILP)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MIT 재료과학공학부 폴리나 아니키바 교수, 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 교수가 강연자로 참석했다. 효성에서는 특허, 중합연구, 전략 실무진이 참석해 효성의 원천기술과 MIT의 혁신기술 융합을 통한 성장동력을 모색했다.
나노테크놀로지 권위자 폴리나 아니키바 교수는 신경계통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 광섬유와 동식물 섬유조직을 모방해 개발한 인공근육 및 스마트섬유에 대해 강의했다. 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 교수는 전자재료, 신약개발, 배터리산업 등에서 어떻게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신소재를 개발할 수 있는지 발표했다.
이어 글로벌 테크-스타트업 6곳도 빠른 성장의 기반이 된 첨단기술을 소개했다. 프리보 테크놀로지스(Privo Technologies)는 구강암, 뇌종양 등 특정 암세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을 소개했고, AI 전문기업 어펙티바(Affectiva)는 표정, 목소리, 맥박수 등을 감지해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기술로 주목받았다.
이 외에도 크기, 효율성, 진동 등을 개선한 로터리엔진을 제작한 리퀴드 피스톤(Liquid Piston), 산업용로봇의 기능 향상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오사로(Osaro), 기업 및 조직의 비효율적인 시스템을 파악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실버스레드(Silverthread), DNA가 정보를 담고 있는 원리에서 착안해 빅데이터 저장 기술을 개발한 카탈로그(Catalog)가 각사의 첨단기술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이들 기업은 업력은 2~10년으로 짧지만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인정 받아 급성장하고 있다.
MIT와 협력은 기술경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현준 효성 회장의 경영 철학이 반영된 것이라고 효성은 설명했다. 조 회장은 기존의 주력 사업 분야와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IT 솔루션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 육성을 위해 노력해왔다.
조 회장은 “향후 세계 최고 석학과 연구진들과 정기적인 세미나를 개최함으로써 트렌드를 앞서나갈 수 있는 기술 교류를 지속할 것”이라며 “효성 원천기술과의 협업으로 효성 백 년을 책임질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