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 당국이 30일 오전 판문점에서 북측에 한강하구 항해용 지도인 해도(海圖)를 전달한다. 이 해도는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남북공동수로조사 결과를 반영해 만들었다. 북측에는 해도뿐 아니라 조사결과 보고서 등이 전달된다. 남북 민간선박은 오는 4월부터 한강하구 항행이 가능할 전망이다.
국방부는 “남북 군사 당국은 한강하구 해도 전달을 위해 오늘 오전 10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군사분계선상 군정위 회의실(T-3)에서 남북군사실무접촉을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실무접촉은 지난 1월 25일 군사실무회담 남측 수석대표 명의의 전통문을 통한 우리 측 제안에 북측이 호응함에 따라 개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실무접촉에 남측은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과장(육군 대령), 윤창희 해병 대령(남측 공동조사단장), 해양수산부 담당자 등 5명이 참석한다. 북측에선 함인섭 육군 대좌(대령급) 등 5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북측에 전달되는 해도는 지난해 9·19군사합의에서 ‘남북은 한강(임진강) 하구 공동이용을 위한 군사적 보장 대책을 강구한다’고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남북은 지난해 11~12월 한강하구에서 남북의 민간선박 항행을 보장하기 위해 한강하구 수로 측량, 조석 관측 등 남북공동수로 조사 작업을 진행했다.
한강하구는 정전협정 제1조 5항에 따라 남북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이 보장되는 수역이다. 하지만 그동안 남북 간 군사적 대치로 접근이 제한돼왔다. 국방부 관계자는 “민간선박의 접근이 제한됐던 한강하구 수역을 군사적으로 개방해 새로운 평화 공간으로 복원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한강하구에서 골재 채취나 관광 사업 등이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정부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틀 내에서 남북의 한강하구 이용에 대한 군사적 보장대책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