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고향 가는 길은 설 전날인 다음달 4일 오전 고속도로가 가장 막힐 것으로 보인다. 서울로 돌아올 때는 설 당일인 5일 오후 가장 혼잡할 것으로 예상된다.
설 연휴 전에 주말이 끼면서 귀성 기간이 넉넉해 귀성길 평균 소요시간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6시간 등 지난해보다 최대 1시간 30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대로 귀경기간은 짧아 부산→서울 8시간 등 작년보다 최대 2시간 50분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국토교통부는 다음달 1일부터 7일까지를 설 연휴 특별교통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교통량 분산을 위해 대중교통 수송력 증강, 우회도로 운영 등에 나설 것이라고 29일 밝혔다.
한국교통연구원이 교통 수요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이번 설 특별교통대책 기간 전국의 예상 이동 인원은 총 4895만명이다. 설 당일인 다음달 5일 최대인 885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하루 평균 이동 인원은 699만명으로 작년보다 1.5%(10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교통수단은 승용차 이용자가 86.2%로 가장 많았고 버스 9.0%, 철도 3.9%, 항공기 0.6%, 여객선 0.3%가 뒤를 이었다.
고속도로 귀성 차량은 기간이 넉넉한 만큼 분산될 것으로 보인다. 설 전날인 다음달 4일 오전 가장 많은 25.6%가 몰리고 당일 오후 11.4%, 5일 오전 19.8%, 5일 오후 10.8%, 6일 오전 14.0% 등으로 예측됐다.
귀경 차량은 설 당일인 5일 오후 32.7%가 몰리고 6일 오후에도 31.2%, 6일 오전 16.2%가 고속도로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승용차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주요 도시 간 평균 소요시간은 귀성의 경우 작년보다 최대 1시간 30분 줄었지만 귀경은 최대 2시간 50분 늘어난다.
귀성길 예상 소요시간은 서울→대전 3시간, 서울→부산 6시간, 서울→광주 5시간, 서서울→목포 5시간 10분, 서울→강릉 4시간이다. 귀경길은 대전→서울 4시간 40분, 부산→서울 8시간, 광주→서울 8시간 20분, 목포→서서울 9시간 10분, 강릉→서울 4시간 20분 등으로 예측됐다.
올 설 연휴에도 고속도로 통행료는 면제된다. 설 당일과 설 전후 하루씩 내달 4∼6일 총 사흘간이다. 이 기간 잠깐이라도 고속도로를 이용해도 통행권을 뽑아 요금소에 그냥 내면 된다. 하이패스 차로는 그냥 통과하면 된다.
국토부는 또 추석 특별교통대책 기간 하루 평균 고속버스 1200회, 열차 29회, 항공기 9편, 여객선 144회 등 대중교통 수송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고속도로 교통정보 애플리케이션,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 인터넷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등에서 실시간 교통혼잡 상황과 주요 우회도로, 최적 출발 시기 등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