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내 초등교사 수급에 빨간불이 켜졌다.
29일 강원도교육청에 따르면 2019학년도 강원도 공립 초등학교 교사 임용 선정 최종 시험결과 일반전형 253명 선발에 184명이 최종합격해 69명이 미달됐다. 19명을 선발하는 장애 전형에는 지원자가 아예 없어 총 272명을 뽑는 초등교사 자리에 88명의 공백이 생겼다. 강원도 내 초등교사 미달 인원은 2015년 31명에서 2016년 89명, 2017년 102명으로 지속 증가하다가 지난해 59명으로 감소했다.
게다가 이번 모집부터 초등교사 확보를 위해 지역가산점제를 변경하는 등 유인책을 마련했는데도 미달 사태가 재연돼 추가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선발과정부터 지역 교대 출신자에게는 지역가산점 6점, 타시도 교대 출신자에게 3점을 부여하는 방식이 도입됐다. 예전에는 지역교대 출신자에는 3점의 가산점이 주어졌고, 타시도 교대 출신자에게는 가산점이 없었다.
또한 올해 초등교사 합격자의 남녀 비율은 46대 54로 대도시에 비해 남성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무지역이 넓어 이동에 대한 부담이 큰데다 벽오지가 많아 여성들이 지원을 꺼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초등교사 미달 사태가 계속되는 것은 춘천교대 재학생들이 대부분 외지 출신인데다 벽지가 많은 강원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문화 인프라, 교통여건 등 근무환경이 좋은 수도권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직 교사들도 타지역으로 응시하는 사례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강원도교육청 관계자는 “모집인원을 계획 인원보다 많이 정하기 때문에 미달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고 해서 교육 현장이 당장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니다”며 “신규 교사 수급 대책뿐 아니라 현직 교사들의 타지역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