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28일 자신의 전당대회 출마 자격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자유한국당 당헌·당규에 정확하게 기록돼 있다. 논란이 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당헌·당규 해석을 두고 당내 이견이 분출되는 상황이지만 ‘마이 웨이’를 가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황 전 총리는 29일 공식 당대표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이다.
황 전 총리는 강원도 춘천에서 열린 강원도당 간담회에서 “당헌에 보면 여러 조항들이 있고 종합적으로 보면 결론이 있는 것”이라며 “전 계속 당에 있을 것이다. 규정은 바꾸면 되는 것이고, 중요한 문제는 모두가 함께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너는 되고 안 되고, 규정이 이러니저러니 말할 때가 아니다”며 “당에서 여러 가지 의견을 수렴해 화합하는 정당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과정을 밟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당내 계파 갈등에 대해서는 “당 안에 있는 많은 분들이 이래서는 안 된다. 이제 합쳐야 한다”가 강조했다.
이에 한국당 한 중진 의원은 “당내에서 자격 여부에 대한 이견이 나오는데, 황 전 총리가 ‘내가 옳다’고만 할 게 아니라 경쟁 후보자나 의원들을 만나 설득하고 논의하는 ‘정치’의 모습을 보여줬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오전에 열린 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는 황 전 총리 문제를 두고 공개 설전이 벌어졌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당헌·당규를 가볍게 여기고 지키지 않아도 되는 형식주의적 논리로 치부해도 된다는 얘기는 비대위원장으로서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원론적 발언이라고 하지만, 거듭 ‘문제 없다’며 선을 긋고 있는 황 전 총리를 다분히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최병길 비대위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낸 분이 쇄신 대상이 아닌 영입 대상이 되는 현실이 슬프다”고 운을 뗀 뒤 “당헌·당규는 모두에게 공정하게 적용되고 예외적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고 작심 비판했다. 정현호 비대위원 역시 “당헌·당규에 예외가 있다면 그것은 특권이 아니고 무엇인가”라고 거들었다.
외부 영입 비대위원들이 황 전 총리와 각을 세우자, 현역 의원들은 옹호에 나섰다. 이만희 의원은 “당대표 출마 자격을 놓고 논쟁이 오가는 것은 보수통합을 바라는 국민 소망에 맞지 않다”며 “국민은 누구든지 당대표와 최고위원에 출마해 문재인정부를 막아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박덕흠 의원은 “예단은 옳지 않다”며 “비대위원들이 좀 신중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황 전 총리는 29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당 당사에서 출마선언을 한다. 그는 페이스북에 “저의 출마는 황교안 혼자만의 출마가 아닌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자 책임과 희생을 다한 국민과 함께하는 도전”이라는 글을 올렸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