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2013년 중국에도 ‘레이더 트집’

입력 2019-01-25 13:37 수정 2019-01-25 13:44

일본 정부가 해상자위대 초계기 위협비행 논란에 사흘째 ‘잡아떼기’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증거로서 공개한 사진이 허위라면서도 아무런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도리어 사진 공개에 유감을 표명하며 적반하장으로 나오고 있다.

이와야 다케시 일본 방위상은 25일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한국 정부가 공개한 사진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고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앞서 우리 국방부는 지난 24일 일본 초계기가 대조영함에 근접해 비행한 사진과 함께, 초계기의 접근 거리와 고도 등을 공개한 바 있다.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위협 비행이 없었다고 잡아떼자 증거로서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야 방위상은 “우리 측은 제대로 된 기록을 남기고 있다. (한국 측이 공개한) 수치는 정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제법과 국내법 등에 따라 (한국 함정에) 거리 500m, 고도 150m 이상을 유지하며 운항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와야 방위상은 우리 측 자료가 잘못됐음을 입증하는 증거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 대변인 격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사진을 공개한 것은 유감”이라며 “한국 측에 냉정하고 적절한 대응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은 2013년 중·일 간 영유권 분쟁이 있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서 중국 감시선이 일본 헬리콥터와 호위함에 추적 레이더를 가동했다고 트집잡으며 외교전을 건 적이 있다. 당시에는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중재에 나서 갈등을 봉합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현 행정부는 한·일 갈등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