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광화문광장 설계안 절대 못 받는다”… 박원순과 충돌?

입력 2019-01-25 10:47 수정 2019-01-25 17:57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최근 서울시가 발표한 새로운 광화문광장 설계안을 두고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틀 연속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판했다. 둘이 여당의 유력한 대권 주자라는 점에서 광화문광장을 계기로 힘겨루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 장관은 25일 오후 뉴시스와 만나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설계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수 차례 전달했음에도 합의 없이 지르고 봤다”며 “집주인 허락도 받지 않고 담을 허물려는 시도를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진작에 행안부 의견을 수용한 보다 진전된 (설계)안을 가져왔으면 (전향적으로) 협의했을 것”이라며 “일단 지르고 보자는 식의 무리한 추진에 더 이상 점잖게 대화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전날 진행된 한겨레신문 인터뷰에서도 “서울시의 설계안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협의 과정에서 우리가 안 된다고 수차례 이야기했는데, 합의도 안 된 사안을 그대로 발표하는 경우가 어디 있나. 그냥 발표해서 여론으로 밀어붙이려는 것인가”라고 얘기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이날 오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세상에 절대 안 되는 일이 어디 있겠느냐”며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은) 정부하고, 특히 청와대와 협력해 쭉 추진해왔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광화문광장 설계안을 둘러싼 행안부의 반발은 사흘 전부터 노출됐다. 행안부는 지난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에 정부서울청사 일부 건물 및 부지가 포함된 문제는 서울시와 정부 간 합의된 바 없다”며 “건물과 부지 침범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며 수용 곤란한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혔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했다.

행안부는 서울시가 발표한 광화문광장 설계안대로 하면 정부서울청사 앞뒤 공간이 다 날라가고 부속건물도 철거해야 돼 청사 건물만 남게 된다고 보고 있다. 청사 정문 앞 도로도 사라지고 뒷편 방문안내실 방향에는 6차로 우회도로가 조성된다.

갈등은 다음 날 곧바로 봉합되는 듯했다. 서울시와 행안부는 24일 관계자 회의를 하고 “광장 조성에 따른 서울청사 일부 건물 및 부지 포함 문제는 도시계획 시설 결정, 기본 및 실시설계 과정에서 양측의 의견을 충분히 조율해 해결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두 기관은 또 효율적인 업무 협의를 위해 과장급 실무협의체를 구성,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장관의 “절대 안 된다”는 발언이 다시 나오자 서울시는 곤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된 광화문광장 설계안은 최종안이 아니고 앞으로 두 기관 간 협의를 충분히 하겠다고 합의도 했다”며 “그런 상황에서 장관님이 무슨 뜻에서 그런 말씀을 하셨는지 이유를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난해 4월 발표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기본계획’에 서울정부청사로 도로를 우회한다는 방안이 들어있고 설계안은 기본계획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라며 “지금까지 진행돼온 사실을 모르지 않을 텐데 이제와서 갑자기 절대 안 된다고 나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행안부 관계자는 “설계안대로 할 수는 없으니 대안을 찾아야 될 거 아니냐, 서울시가 대안을 가져와야 한다, 그러면 같이 협의할 수 있다, 이게 장관님 입장이다”라고 전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