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매일이 개 ‘학살’ 사태다.” 동물권 단체인 ‘동물해방물결’은 19일 성명을 내고 “이번 사태(케어의 안락사 사태)를 개 식용 반대 및 도살 금지 운동의 후퇴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라고 했다. 개 식용 산업의 철폐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단체는 개 식용 산업에 따라 해마다 100만 마리의 개들이 생산되며, 농장 개의 경우 고통스러운 방법으로 죽음을 당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사설 보호소에서 안락사되는 개들의 죽음과 도살장에서 전기봉에 지져지거나, 목이 매이거나, 두들겨 맞는 개들의 죽음을 결코 동일선상에 둘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이번 사태의 구조적인 책임은 무법 지대에서 개들을 마음껏 번식 판매 도살하는 업자들과 그들을 수십년간 방치해온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정부를 향해 “지난 8월 공식적으로 발표했던 개 ‘가축’ 삭제 검토 등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당시에는 회피했던 ‘개 도살 금지’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히는 것이 안락사 공론화보다 먼저라고 주장했다. 또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를 향해 “‘동물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심사를 시작하라”고 요구했다. 이 법안은 개 고양이 임의도살 금지법으로 불린다.
앞서 박소연 ‘케어’ 대표는 구조 동물들을 무분별하게 안락사하고 그 사실을 숨겼다는 의혹에 휩싸였고,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동물을 고통 없이 보내주는 게 최선의 보호 활동이었다” “인도적 차원이었다”고 해명했다. 비난을 두려워한 박 대표가 그간 안락사 사실을 알리지 못했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동물권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동물해방물결은 “동물권 운동의 자성과 진보는 병행될 것”이라며 “이 땅의 개들을 가장 고통스럽게 하는 개 식용 산업을 철폐하기 위한 싸움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