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뒤 만날 김정은과 트럼프, 어디까지 주고받을지 촉각

입력 2019-01-19 09:37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왼쪽 첫번째)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가운데),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듀폰서클호텔에서 열린 고위급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AP/뉴시스

백악관이 18일(현지시간)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2월 말쯤(near the end of February) 개최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북·미 정상이 비핵화 및 미국의 상응조치를 놓고 얼마나 합의를 이룰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 외교소식통은 19일 “미국과 북한은 사실상 서로가 원하는 수준과 단계에 대해 알고 있다”며 “누가 먼저 ‘빅 카드’를 꺼내느냐, 둘이 어디까지 양보하느냐에 따라 회담 성패가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역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을 가진 이후 줄곧 북한에 핵신고를 비롯한 비핵화의 선제적 조치를 강조해 왔다. 북한 역시 물러서지 않고 대북제재 해제와 종전선언을 주장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하반기엔 양측이 전혀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시간만 보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이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제재 예외 조치 가능성을 연달아 시사하고, 북한 비핵화 부문도 ‘선제적 핵신고’라는 기존 방침보다 유연한 로드맵을 만들어 전달하면서 협상 진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핵 신고의 범위와 방식, 핵·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일부 폐기 및 반출, 영변 핵시설 폐기 또는 동결·불능화, 대북제재 완화·해제, 연락사무소 설치,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등이 다음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간 2차 정상회담 테이블에 모두 올라올 가능성이 크다.

특히 비핵화와 미국의 상응조치가 단계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어느 수준에서 합의가 이뤄질지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예컨대 전문가들은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동창리 미사일발사실험장 사찰단 구성에만 나설 경우 미국은 인도주의적 지원만 허용할 것이고, 북한이 영변 핵시설 폐기·동결에 이어 시료 채취까지 허용한다면 미국도 개성공단·금강산관광 등을 비롯한 보다 전격적 제재 예외·해제에 나설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