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경이 없으면 개척 할 운명이 없다.” 아저씨가 늘 마음에 품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마다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좌우명’이예요. 아저씨는 정말 가난한 환경에서 자라났습니다. 아저씨의 아버지는 6·25 전쟁 통에 한쪽다리를 잃고 목발을 짚으며 생활하는 장애인(의족)이셨습니다. 어머니 역시 한쪽 눈이 안보이시는 시각장애인이셨습니다.
어린 시절 ‘소방관이 되겠다’는 꿈을 이룬 한 소방공무원의 이야기가 2019학년도 초등학교 5학년 도덕교과서에 실렸다. 화제의 주인공은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중랑소방서)에서 근무하는 있는 이성식(45) 소방장.
이 소방장의 부친은 6·25 전쟁 때 한쪽다리를 잃어 목발을 짚으며 생활한 장애인이었고, 어머니는 한쪽 눈은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다. 이 소방장은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성장할 수 밖에 없었다.
목발을 짚으면서 야채·과일 노점상으로 생계를 이어오던 부친은 이 소방장이 21살 되던 해에 생활고에 시달리다 사망했다. 시각장애가 있는 어머니는 홀로 노점상을 이어받아 장사를 해 오던 중에 뇌출혈로 쓰러져 지금은 가족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태다.
이러한 집안의 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이 소방장은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새벽 4시에 일어나 아침 7시까지 청량리역 주변에서 신문배달을 했고, 한 달간 신문배달로 받은 2만원을 가계에 보탰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진학하면서부터는 리어카로 장롱, 책상 등 가구배달을 하면서 집안 생계에 보태야 했다.
하지만 자신의 어려운 형편을 비관하는 쪽보다 나보다 더 어려운 이웃을 도와주는 소방관이 되고 싶었다는 이성식 소방장은 2005년 서울시 소방공무원 채용시험에 합격 후 현재 중랑소방서에서 근무하고 있다. 궁핍했던 어린 시절의 결심을 잊지 않고 몸이 불편 해 생활이 어려운 이웃을 위해 매월 정기적으로 기부도 하고 있다.
이 소방장은 “궁핍했지만 좌절하지 않고 꿈을 향한 긍정의 힘이 오늘을 있게 했다”며, “저의 이야기를 통해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역경에 굴하지 않고 이루고하자 하는 꿈을 갖고 노력한다면 그 꿈은 반드시 이루어 질수 있다는 작은 교훈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