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공유문화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는 공유문화 촉진을 위한 다양한 공모사업을 벌인다.
광주시는 ‘공동체 정신’의 실현을 위해 공유문화도시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공유(share)는 공간과 물건은 물론 정보 등을 함께 활용해 자원과 자산의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총체적 활동을 의미한다.
21세기형 현명한 소비활동인 공유는 일자리 창출과 공동체 복원에 큰 도움이 된다.
시는 그동안 공유도시 만들기 기본계획에 따라 공유촉진조례를 제정하고 공유촉진위원회를 구성 운영해왔다.
시청과 시 산하기관, 자치구, 학교 등의 회의실과 체육시설, 주차장 등을 시민들이 활용하도록 ‘공유지도’와 ‘웹사이트’를 구축하기도 했다.
시는 올해는 공유부엌 등 3개 분야에서 공유문화를 실천하는 기업과 단체에 사업비를 지원한다.
공유부엌은 증가하는 1인 가구의 혼밥, 건강관리 소홀, 사회적 고립 등을 해결하는 차원이다. 요리전문가 강습 등 재능공유와 음식 나눔 프로그램, 음식을 통한 커뮤니티 운영 등이 주요 내용이다.
시는 또 공유실천 기업·단체를 지정해 3년간 공유 로고 사용, 공유 관련 행사 우선 참여권 등 혜택을 준다.
최근 6개월 이상 공유활동을 한 이력이 있는 비영리 민간단체, 법인, 기업, 마을공동체를 대상으로 공모해 최고 2000만원을 지원한다.
공유촉진사업비 지원은 경기침체와 청년실업 등 경제관련 문제와 고령화 청년주거 공동체 와해 등 복지 분야 등에서 공유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것이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과 단체·마을공동체는 다음 달 8일까지 광주시 자치행정과(062-613-2651)로 신청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앞서 시는 2016∼2018년 24개의 공유실천 기업·단체를 지정해 2억4000만원을 지원한 바 있다.
김준영 광주시 자치행정국장은 “나눔이 넘치는 광주공동체 실현을 통해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