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드래프트 변경 공론화 필요’ KBO, 개선 의지 전혀 안보여

입력 2019-01-16 15:53 수정 2019-01-16 15:55

KBO는 15일 실행위원회 논의 결과를 전하는 보도자료를 내놨다.

보도자료 제일 끝에 한 문장이 들어 있다. “드래프트와 관련해 실행위원회는 좀 더 다각적인 검토와 조사를 통해 각 구단 별로 해당 내용을 정리한 뒤 제도 개선 여부에 대해 재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FA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었다.

먼저 드래프트 제도 변경은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언제나처럼 지방 구단들이 주장하는 전면 드래프트 실시와 수도권 구단들이 원하는 연고지 출신을 뽑는 현행 1차 지명 제도 유지 의견이 맞섰다는 의미다.

프로야구선수협회에 따르면 2월 실행위 일정은 잡히지 않았다고 했다. 보도자료에 나오는 다각적인 검토와 조사는 이미 충분히 나올만큼 되어 있는 상황이다. 더 이상의 조사보다는 결정이 요구되는 시점인 것이다. 그런데도 ‘다각적인 검토와 조사’를 언급한 것은 제도를 변경하지 않겠다는 말과 진배 없다. 어차피 여론이 엇갈린 상황에서 무리수를 두지 않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FA 제도 개선안도 마찬가지다. KBO 스스로 제안했던 80억원 상한선이 SK 와이번스 최정(32)과 NC 다이노스 양의지(32)의 FA 계약으로 연이어 무너진 상황에서 재논의가 쉽지 않다는 현실 인식이 깔려 있다. 프로야구선수협회에서 요구하는 FA취득기간 완화 및 재취득 기간 폐지는 교환 대상일뿐 수용 의사가 없어 보인다.

이대로라면 올해도 전면 드래프트 실시와 FA 제도 개선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KBO가 개선 의지를 드러내지 않는다면 공론화 과정으로 가는 게 올바르다. 최근 다시 불거진 탈원전 정책을 놓고 과거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원전 재가동 여부를 결정한 바 있다.

KBO가 스스로 결정하지 못한다면 외부의 힘이 가해져야 한다. 프로 구단들의 입김에 계속 끌려 다녀선 KBO리그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는 것도 시간문제다. 전면 드래프트와 FA제도 개선에 대한 양측의 입장은 충분히 나온만큼 이제는 결정의 과정에 돌입해야하는 수순이다. 방법은 공론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