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맞벌이·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지역 아동들을 돌보고 있는 지역아동센터들이 최저임금 상승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 예산 편성을 비판하며 추가경정예산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역아동센터 예산사태 해결을 위한 추경쟁취연대는 1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2019년 지역아동센터 지원 예산은 최저임금 인상률 10.9%에도 불구하고 인상률이 2.5% 오르는 데 그쳤다”고 밝혔다. 연대는 “국가가 센터에 지원하는 금액 중 10%는 아동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비용인데 이를 삭감해서 최저임금 상승분을 채우라는 게 정부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연대 공동대표단은 모두발언에서 “아동 프로그램비가 삭감되면 우리 아이들이 외부로 프로그램을 나가며 버스를 이용할 경우 돌아올 때는 걸어와야 한다”고 외쳤다. 라용주 공동대표는 “아이들을 위한 돈으로 우리 최저임금을 채워 넣으라는 게 말이 되냐”고 비판했다.
이날 집회에는 전국 지역아동센터장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들도 함께 했다. 경기도 안양의 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온 정영숙 사회복지사는 “나라에서 챙겨야 할 아동복지를 지역아동센터가 챙기고 있다”며 “최저임금을 받으려면 아이들 프로그램을 줄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해서 우리가 최저임금을 받고 싶겠는지 반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과 학부모도 힘을 모으기 위해 집회현장을 찾았다. 딸 셋을 지역아동센터에 보내고 있는 이준배씨는 “아이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는 지역아동센터와 같은 아동복지센터의 도움이 절실하다”며 “이러다가 센터가 문을 닫아 우리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어지면 어떡해야 하나 걱정이 된다”고 우려했다.
초등학교 3학년때부터 인근 지역아동센터를 다녔던 박민곤씨는 “요리에 관심이 많았는데 센터 원장님이 많이 도와주고 멘토가 돼줬다”며 “그 꿈을 키워 지금은 호주에 유학을 왔다. 원장님의 도움이 없었다면 나는 이곳에 없었다”고 전했다.
지역아동센터는 국가의 지원금과 각 센터가 유치해온 후원금으로 운영된다. 그동안 센터들은 정부지원금에서 10%만을 아동들을 위한 프로그램비로 사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그마저도 5%로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촉구하고 있다. 연대에 따르면 최저임금 인상분을 포함하면 130억원의 추경예산이 필요하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