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은 초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보기 위해 차량 2부제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2명 중 1명은 대기오염 발생 원인으로 중국을 지목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공동으로 미세먼지 대기오염과 관련한 여론조사를 실시해 1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17일부터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 중 50.7%는 대기오염 발생원인 제공자로 ‘중국’을 꼽았다. 중국과 한국이 복합적으로 대기오염을 만들었다는 응답자도 44.1%나 됐다. 한국을 꼽은 사람은 5.3%였다.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정부가 내놓은 정책에는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특히 초미세먼지 주의보를 발령할 때 시행하는 ‘공공기관 차량 2부제’ 정책에 대한 부정 평가는 긍정 평가보다 1.5배 높았다. ‘효과가 없다’는 응답자는 60%, ‘있다’는 응답자는 40%였다.
최근 대기오염이 최악의 상황을 보이면서 국민들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정부 대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냈다.
전날 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에서 측정한 한국의 초미세먼지(PM 2.5)는 하루평균 126㎍/㎥으로 2015년 해당 수치를 정식 측정한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이었다. 이에 수도권은 13일부터 이날까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했다. 수도권에서 사흘 연속으로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건 2017년 비상저감조치 정책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응답자 중 54.3%는 정부가 미세먼지 경보를 발령할 경우 차량 2부제에 동참하는 데 찬성 의사를 보였다. 이는 반대(45.7%)보다 1.2 배가량 높은 것이다. 초미세먼지 주의보를 발령할 때 차량 2부제 동참에 더 적극적이었다. 참여하겠다는 사람이 66.3%로 참여하지 않겠다(33.7%)는 사람보다 2배 정도 높았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취한 미세먼지 대기오염 저감 정책에 국민들이 실망감을 표현한 것”이라며 “또 미세먼지 오염의 원인으로 중국과 한국을 꼽으면서 ‘대중국 미세먼지 외교정책’에 실효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