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러시아가 2차 세계대전의 평화조약 체결을 위한 첫 번째 장관급 협상에서 극명한 입장차이만 확인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14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평화조약 협상 후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에게 일본이 이투룹, 쿠나시르, 시코탄, 하보마이 등 쿠릴지역 4개 섬을 ‘북방영토’라고 표현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또 “러시아와 평화협상을 체결하려면 일본은 먼저 쿠릴 4개 섬에 대한 러시아의 주권을 인정해야한다”며 “이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라브로프 장관의 발언은 쿠릴 지역 섬의 반환을 원하는 일본의 희망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적국으로 맞서 싸운 러시아와 일본은 전후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못했다. 쿠릴 지역 섬들의 영유권에 대한 이견이 걸림돌이었다. 쿠릴 지역의 섬들은 1945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러시아의 영토가 됐다.
일본은 이번 협상을 앞두고 시코탄과 하보마이 2개 섬에 대한 반환을 우선 요청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러시아가 1956년 소·일 공동선언 때 시코탄과 하보마이를 일본에 반납하겠다고 약속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반면 러시아는 평화조약을 우선 체결하자는 입장을 보이며 맞서고 있다. 또한 소·일공동선언에서 2개 섬에 대한 반환에 합의한 적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두 나라 평화조약을 둘러싼 논의는 지난해 9월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어떤 전제조건도 없이 평화조약을 맺자”고 제안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두 나라는 이번 장관급 협상에 이어 오는 22일에는 모스크바에서 정상회담을 열 예정이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