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자유한국당에 입당하는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민주평화당·정의당은 일제히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평화당은 “구치소에 있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상의하고 입당했는지 묻고 싶다”고 쏘아 붙였다.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한국당의 선택이 결국 ‘도로친박당’이라고 지적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1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황 전 총리는 박근혜정권 내내 법무부 장관과 총리를 역임한 핵심 인사”라며 “국정농단에 누구보다도 큰 책임이 있고 본인도 수많은 의혹의 당사자인데, 진심어린 사과도 없이 개선장군처럼 정치를 하겠다고 나섰다”며 “한국 보수의 비극이자 씁쓸한 현 주소”라고 말했다.
이재정 대변인도 마찬가지로 “황 전 총리는 국민 앞에 반성과 사과부터 해야 한다”며 “그 어떤 직도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평화당과 정의당도 비판 수위를 높였다.
김정현 평화당 대변인은 “국정농단 탄핵사태에 대해 박 전 대통령 다음으로 책임을 져야하는 입장에서 국민을 우습게 알지 않고서야 이럴 수 없다”며 “구치소에 있는 박 전 대통령과 상의하고 입당했는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문정선 대변인도 “황교안의 정치 선언은 명백한 좀비 정치의 부활이자 한국 정치의 퇴행”이라고 꼬집었다.
박지원 평화당 의원은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황 전 총리가 입당하면 한국당은 바로 박근혜당”이라며 “처절한 반성과 대국민 사과를 하는 것이 그분이 할 도리”라고 강조했다.
정의당도 “재활용도 한계가 있다”며 한국당을 비난했다. 최석 대변인은 “(황 전 총리는) 경제를 포기했던 박근혜정부 시절 총리로서 경제에 대해 말하려면 먼저 9개의 반성을 말한 후 1개의 질책을 해야 합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폐기물관리법을 거론하며 “한국당은 재활용의 승인 요건을 숙지하고 정계에 다시 발을 내딛는 정치인을 심사할 때 참고하기 바란다”고 목소리 높였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