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용 침체에 떠밀려 부처별로 추진한 단기 일자리 사업이 ‘의외’의 성과를 내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농림축산식품부의 영농폐기물 수거 단기 일자리다. 농촌 고령화 때문에 처치 곤란이던 폐비닐 등을 6주 사이 1만t 이상 수거하면서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정)’이란 평가가 따라붙었다. 덕분에 봄철에 영농쓰레기를 태우다가 산불로 이어지는 폐해가 줄어 들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해당 사업을 아예 정식 사업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11~12월 6주간 농촌 영농폐기물 수거처리반 사업을 추진한 결과 1만1100t의 쓰레기를 수거했다고 8일 밝혔다. 품목별로 보면 영농폐비닐이 7489t으로 가장 많았다. 방치될 경우 토양이나 수질을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폐농약용기는 660만개 정도를 모았다. 무게로는 330t 정도다. 이외 폐영농자재 등 기타 쓰레기도 3281t을 줏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매년 7만t 정도의 영농폐비닐이 방치된다. 폐농약용기도 1500만개 정도는 수거되지 않고 논·밭에 남겨진다. 지난해 11~12월 실적만 놓고 보면 단기간에 각각 10.6%, 44.0% 정도를 수거해낸 셈이다.
수거 인력은 지난해 기획재정부 차원에서 추진한 단기 일자리 만들기의 일환으로 구성했다. 100억원 정도의 예산을 들여 5564명의 인력을 동원했다. 덕분에 그 동안 농촌 고령화로 처리하지 못하던 ‘눈엣 가시’도 제거할 수 있었다. 영농폐비닐과 같은 경우 농사에 쓰이는 과정에서 흙 등 이물질이 묻어 무게가 늘어난다. 고령의 농업인들은 이를 처리하기 힘들다.
영농쓰레기를 수거한 덕분에 산불 위협도 줄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매년 발생하는 산불 건수 중 30~40%가 봄철에 영농쓰레기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영농쓰레기를 많이 수거할수록 태워야 할 물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효과가 좋자 아예 정례화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농식품부는 매년 지속적으로 영농폐기물 수거처리반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예산 주무부처인 기재부와 협의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사를 짓기 전인 3~4월과 수확기 이후인 11~12월에 두 차례 정도 정기적으로 수거처리반 사업을 하는 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