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KB국민은행 노조의 파업과 관련해 은행의 신뢰 훼손 뿐만 아니라 국가적 손실도 큰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또 은행이 국민경제의 핵심 인프라라는 점을 고려할 때 노사간 합의가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8일 국민은행 노조 파업과 관련한 확대 위기관리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노사간 타협이 이뤄지지 않고 결국 국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파업까지 이르게 돼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는 파업으로 고객 금융거래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은 은행의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그동안 쌓아온 은행의 신뢰와 평판이 훼손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주주, 경영진, 근로자 모두에게 손실을 초래한다는 점을 노사가 모두 더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은행의 파업은 일반기업과는 다른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은행은 경제활동을 매개하는 국민경제의 핵심 인프라”라며 “개인의 금융거래와 기업의 영업활동에 미치는 파급효과까지 고려한다면 은행의 파업은 국가적 손실도 큰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위원장은 “국민은행은 고객수나 자산규모 면에서 국내 최대 은행이므로 그만큼 영향도 크다는 점에서 더 유감스럽다”며 “한시라도 빨리 노사 간에 합의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은 그간 파업에 대비해 ‘위기 상황 대응반’을 운영해왔고, 파업당일인 8일 대응반을 위기관리협의회로 격상해 고객 불편상황 등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 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부분파업으로 진행돼 모든 영업점(1058개)이 운영중이며, 인터넷·모바일 뱅킹 등 전산시스템도 정상 가동중”이라고 설명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