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7일 청와대 비서진 교체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인(人)의 장막에 가려져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또다시 대표적 친문(재인) 인사로 청와대를 채우는 것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후임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노영민 주중대사, 정무수석으로 강기정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낙점됐다는 이야기가 들린다”며 이 같이 말했다. 노 대사와 강 전 의원은 대표적인 ‘원조 친문’ 인사로 분류된다. 노 대사는 2012년 대선 당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의 비서실장을 맡았고, 2017년 대선에서는 문재인캠프의 조직본부장을 맡았다. 강 전 의원도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캠프의 총괄수석부본부장을 지냈다.
김 원내대표는 특히 두 사람의 도덕성 문제를 지적하며 우려를 표했다. 그는 “노 대사의 경우 과거 아들 특혜채용으로 논란이 된 적이 있었고, 더욱이 2015년에는 저서를 강매해 당원 자격 정지 6개월 징계를 받은 적도 있다”며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화두인 갑질 및 공정성 문제에서 근본적으로 의문이 있는 분”이라고 꼬집었다.
강 전 의원에 대해서도 “국회의원 시절 두 차례나 폭력적 행위로 처벌받은 분”이라며 “국회의원 특권을 누려 당에서 징계한 사람, 공무집행방해로 형사 처벌 받은 사람을 각각 비서실장과 정무수석으로 꼭 써야했나”고 반발했다.
김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의 인재풀이 겨우 이 정도밖에 안되는 것인지 안타깝다”며 “대통령은 자신에 대한 지지 여부와 관계없이 적재적소에 인재를 삼고초려해 쓰겠다고 한 취임사를 다시 한 번 되새겨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사는 2015년 19대 국회의원 시절 사무실에 카드결제단말기를 설치해놓고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산하기관에 자신의 시집을 강매했다는 의혹으로 ‘의원 갑질’ 논란을 일으켰다. 노 대사는 이 문제로 산자위원장직을 내려놨고,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2010년에는 아들을 국회 부의장 비서관으로 채용하는데 영향을 끼쳤다는 의혹을 받아 특혜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강 전 의원은 지난 2010년, 2011년도 예산안을 두고 여야가 대치하는 상황에서 김성회 한나라당 의원과 주먹다짐을 벌이는 등 국회 회의 진행을 방해한 혐의(공무집행방해 등)로 벌금형을 받았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